“지난해 오피스 거래 13조 규모…거래량 전년 대비 50% 증가”

입력 2025-01-28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2024년 투자 시장 보고서

▲국내 연도별 전체 오피스 투자 규모. (자료제공=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국내 연도별 전체 오피스 투자 규모. (자료제공=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지난해 서울과 경기 성남시 분당구를 중심으로 오피스 거래가 늘면서 지난해 전국 오피스 거래액이 13조 원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펴낸 ‘2024년 투자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기준 거래량은 53건, 거래액은 13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거래량 34건, 거래금액 8조7000억 원보다 50%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금리 인하에 따른 투자 심리가 회복된 결과로 역대 최대 거래 규모를 기록한 2021년의 약 85% 수준까지 회복됐다”고 평가했다.

4분기 거래 중 가장 거래 규모가 큰 자산은 8953억 원에 거래된 디타워 돈의문으로 조사됐다. 올해 성사 거래 중 더 에셋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NH농협리츠운용은 서대문 일대에 NH금융타운을 조성할 계획으로, 마스턴투자운용으로부터 디타워 돈의문을 인수했다. 이에 현재 이곳을 사옥으로 사용 중인 DL그룹은 앞으로 마곡으로 사옥을 옮길 예정이다.

올해 준공된 충무로15빌딩은 이지스자산운용과 SKD&D가 SK리츠에 약 1994억 원에 매각했으며, 향후 SK그룹 계열사인 SKC, SKC&C, T맵모빌리티 등이 사옥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SKD&D는 또한 명동N빌딩을 1601억 원에 매각했으며, 디앤디인베스트먼트가 디앤디플랫폼리츠를 통해 인수했다.

강남권역에서는 코레이트타워가 약 4450억 원에 거래됐다. 한국토지신탁이 우선매수권을 행사해 셰어딜로 재매입했다. 판교에서는 삼성중공업이 판교 연구개발센터를 세일앤리스백 방식으로 약 4000억 원에 이지스밸류 플러스리츠에 매각했다.

이번 분기에는 외국계 투자자의 참여도 눈에 띄었다. 블루코브자산운용은 SM그룹 강남사옥을 약 1200억 원에 인수하였으며, 수익자는 블랙스톤으로 해당 자산을 호텔로 전환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4분기 서울 오피스 시장에서 3.3㎡당 평균 거래금액은 3316만 원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강남권역은 3.3㎡당 4254만 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서울 중심권역(CBD)은 3.3㎡당 2888만 원으로 가장 낮은 가격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에 월가 비관론 확산…증시 전망 줄줄이 하향
  • 한미 재무·통상장관, 이번주 美워싱턴서 '2+2 통상협의'
  • [종합] 한덕수, FT와 인터뷰서 “대선 출마 결정 아직…미국 관세에 맞대응 안 해”
  • 트럼프, 국세청 수장 인선에 베선트 ‘손’…백악관서 힘 빠지는 머스크
  •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에 150원 오른다…대선 이후 인상 전망
  • “미쉐린 식당 모두 모였네”…백화점, 고급·차별화 F&B로 불황 타개
  • 심현섭, 오늘(20일) 장가가는 날…11살 연하 정영림과 결혼식 현장 공개
  • 16개월 아기부터 77세 어르신까지…123층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수직 질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221,000
    • -0.5%
    • 이더리움
    • 2,283,000
    • -2.23%
    • 비트코인 캐시
    • 482,900
    • -0.17%
    • 리플
    • 2,974
    • -1.06%
    • 솔라나
    • 197,600
    • -1.2%
    • 에이다
    • 891
    • -1.22%
    • 이오스
    • 950
    • +4.51%
    • 트론
    • 355
    • +1.72%
    • 스텔라루멘
    • 351
    • -1.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00
    • -0.38%
    • 체인링크
    • 19,050
    • +2.47%
    • 샌드박스
    • 390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