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운용 “퇴직연금 시장, 10년 후 1000조 넘어설 것”

입력 2025-02-25 09: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10년 후 1000조 원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5일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2025년 대한민국 퇴직연금시장 현황 및 전망’을 공개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매년 인구구조 변화와 퇴직연금 가입자 수, 근속연수, 월 임금 총액 등 가입자 추이를 연령별로 반영해 퇴직연금시장 규모를 추정하고, 장기 수익률을 고려해 시장 전망을 개정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연금 시장 규모는 432조 원으로, 2023년 예상치보다 7조 원 초과 성장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이 같은 성장세를 이어가면 2034년에는 퇴직연금 시장이 약 2.4배 늘어난 1042조 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연평균 약 9.2% 성장하는 셈이다.

제도별로는 같은 기간 확정급여형(DB)은 1.8배, 확정기여형(DC)은 2.6배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개인형퇴직연금계좌(IRP)는 3.6배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며 퇴직연금 시장 확대를 주도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DB형은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퇴직연금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215조 원 규모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으나, 2034년에는 389조 원으로 비중이 37%까지 낮아질 것으로 관측됐다. DC형은 118조 원에서 302조 원으로 규모는 증가하나, 비중은 지난해 말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됐다. IRP는 노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99조 원에서 351조 원까지 증가해 약 34%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운용 방법별로는 원리금 보장형 상품이 지난해 말 356조 원에서 2034년 705조 원으로, 실적 배당형 상품이 75조 원에서 338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DB형 퇴직연금 내 실적 배당형 상품구성비는 적립금운용계획서(IPS) 도입 의무화 등 제도 정착에 따라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김석진 한국투자신탁운용 연금컨설팅부장은 “국내 60세 이상 인구가 전년 말 기준 1410만 명에서 10년 후 191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퇴직연금시장에 대한 니즈도 함께 높아질 것”이라며 “고연령대 이직자와 은퇴자 비중이 늘어나며 상대적으로 IRP 시장이 빠르게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은행 지점 찾기 어렵네”…ATM 수도 ‘뚝’ [용두사미 대체점포]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가발 쓴 탈덕수용소ㆍ신상 털린 뻑가…'사이버 렉카', 몰락은 이제 시작? [이슈크래커]
  • 무시하지 말라던 ‘추성훈 아조씨’의 유튜브 떡상기 [요즘, 이거]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美장 하락에…저가 매수 나선 '서학개미'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12: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150,000
    • -3.79%
    • 이더리움
    • 3,635,000
    • -9.31%
    • 비트코인 캐시
    • 426,600
    • -8.57%
    • 리플
    • 3,344
    • -8.61%
    • 솔라나
    • 204,300
    • -13.47%
    • 에이다
    • 994
    • -8.64%
    • 이오스
    • 818
    • -10.11%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433
    • -8.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860
    • -6.28%
    • 체인링크
    • 22,050
    • -11.09%
    • 샌드박스
    • 437
    • -1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