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공공기관이 민간과 협력해 1조1000억 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2단계 펀드(PIS 2단계 펀드)’를 조성한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서울에서 PIS 2단계 펀드의 첫 단계인 공공기관 투자계약 체결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체결식에는 해외투자개발, 인프라, 수출금융 분야 10개 공공기관이 투자자로 참여한다. 참여기관은 국토부 장관이 참여한 가운데 펀드 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과 PIS 2단계 펀드 조성 및 투자를 위한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PIS 펀드는 해외건설시장에서 단순도급 방식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의 해외 투자개발사업으로의 우리 기업 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019년부터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함께 조성해 온 금융지원 프로그램이다. 2019년 1단계 펀드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1조4000억 원을 조성했다. 올해 6월까지 1조5000억 원 규모의 펀드 투자를 완료할 계획이다.
앞서 미국⋅영국⋅말레이시아⋅사우디 등 12개국의 친환경에너지⋅도로⋅유화플랜트⋅산업단지⋅물류센터 등 다양한 분야의 총 20개 사업에 투자해 약 15억 달러 상당의 수주·수출 지원 효과를 거두고 있다.
관련 뉴스
PIS 2단계 펀드는 우선 전체 규모의 10%에 해당하는 1100억 원의 정부 재정과 3300억 원의 공공기관 투자를 통해 모태펀드(모펀드)를 조성하고, 나머지 60%에 해당하는 6600억 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조1000억 원의 하위펀드(자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2단계 펀드의 투자 대상은 하위·중위 개발도상국 및 선진국에서 추진되는 플랜트, 교통 및 물류 인프라, 도시개발 등 분야의 해외 투자개발사업이다. 전체 투자의 60% 이상을 우리 기업이 해외수주·수출·사업개발·지분투자 목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또 2단계 펀드 투자에 참여한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해외사업에도 적극 투자해 국내 인프라 건설⋅운영에 많은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우리 공기업이 민간기업과 함께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해외건설 1조 달러 수주 달성에 이어 2조 달러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동력은 투자개발사업으로 금융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라며 “해외 투자개발사업의 금융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번 PIS 2단계 모태펀드에 투자한 공공기관이 선도적인 노력을 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