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비재 시장, 국내보다 해외 눈 돌려야…삼양식품·농심·풀무원·빙그레"

입력 2025-03-25 08: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생활건강 CI (사진=LG생활건강)
▲LG생활건강 CI (사진=LG생활건강)

NH투자증권은 25일 국내 소비재 투자에 있어 국내보다 해외 시장에서 무한한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유의미한 성과를 내는 기업으로 삼양식품, 농심, 롯데웰푸드, 아모레퍼시픽, 에이피알, 풀무원, 빙그레, 지누스 등을 제시했다.

과거 글로벌 시장에서 대다수 국가에서 1위~2위 수입국은 프랑스 혹은 미국이었다. 그런데 2024년 미국과 태국은 한국산 비중이 1위를 기록했고, 일본은 2021년을 기점으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주영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브라질, 멕시코 등 남미 지역과 프랑스 등 유럽 지역은 한국 수입 비중이 아직 미미해 점유율 상승 여지가 크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특히, 화장품 섹터는 소비재 중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 코스피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표적으로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있다.

2014~2016년 중국에서 한국산 럭셔리 화장품(후, 설화수)이 인기를 얻던 시기 중국 지역에서 매출 고성장을 시현한 브랜드들은 높은 재평가를 받았다.

당시 중국의 한국산 화장품 수입 비중은 27%를 기록한 바 있고, 이후 2016년 사드 사태와 한한령, 코로나19 등을 겪으며 한국산 점유율은 14%까지 하락했다.

주 연구원은 "2023년을 기점으로 화장품 산업의 패러다임이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코로나19 이전 중국과 면세 중심에서 2023~2024년 미국과 일본으로, 이제는 중동과 유럽 시장까지 발을 넓히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국내 소비주들은 해외시장에서 유의미한 매출 규모를 달성해야 리레이팅의 조건을 충족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사모펀드에 돈 쏟아붓는 은행들...5대 은행 36조 투자
  • FDA 재도전 불발된 HLB…무거운 분위기 감돈 주총장 [가보니]
  • 정용진·김동선도 출사표...유통가, 왜 테마파크에 꽂혔나 [K테마파크 르네상스]
  • 트럼프 “3선 농담 아냐…할 방법 있어”
  • 이혼 거치며 더 끈끈해지거나 소송하거나…다양한 부부의 세계 [서초동 MSG]
  • 김수현, 오늘(31일) 기자회견 연다…시간은?
  • [위기의 시진핑] ‘딥시크의 덫’에 빠진 시진핑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 이미지 생성 반응 폭발…렌더링 딜레이 속출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13: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656,000
    • -2.08%
    • 이더리움
    • 2,687,000
    • -2.11%
    • 비트코인 캐시
    • 446,600
    • -2.25%
    • 리플
    • 3,114
    • -4.71%
    • 솔라나
    • 186,000
    • -1.38%
    • 에이다
    • 972
    • -4.71%
    • 이오스
    • 862
    • -1.71%
    • 트론
    • 348
    • +1.16%
    • 스텔라루멘
    • 394
    • -2.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490
    • -3.39%
    • 체인링크
    • 19,810
    • -3.55%
    • 샌드박스
    • 400
    • -2.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