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생성형 AI 기반 혁신 사례 소개…MS와 협력 강화

입력 2025-03-26 13: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MS 론치 센터’ 조직 신설
AI·클라우드 사업 집중한다

▲LG CNS 직원이 26일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에서 LG CNS의 생성형 AI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LG CNS)
▲LG CNS 직원이 26일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에서 LG CNS의 생성형 AI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LG CNS)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효율성을 혁신한 사례를 소개했다.

LG CNS는 26일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Microsoft AI Tour in Seoul)에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 LG CNS는 제조기업 A사의 제품 설계업무에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클라우드 기반 생성형 AI 검색 지능화 서비스를 도입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직원들이 업무 중 문제가 발생하거나 궁금한 사항에 대해 채팅창에 질의하면, 생성형 AI가 제품 설계 지침서나 과거 이슈를 해결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한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추진 중인 ‘마이크로소프트 365(M365) 코파일럿’ 활용 컨설팅 프로그램도 소개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M365 코파일럿을 업무에 적용하고, AI 서비스를 기획할 수 있다. LG CNS는 데이터 활용부터 서비스 구축까지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전시 부스에서 △일정 관리, 회의록 작성 △제안서·시장 분석 보고서 작성 △매뉴얼·직원 교육자료 제작 등 M365 코파일럿 기반 AI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사업 협력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MS 론치 센터(Launch Center)’ 별도 조직까지 신설했다. 이 조직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에 특화된 아키텍트와 AI, 애플리케이션(앱) 현대화 전문가로 구성됐다. 기업들은 ‘MS 론치 센터’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이노베이션 저니 워크숍’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생성형 AI △클라우드 등 전방위적인 사업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김태훈 AI클라우드사업부장(전무)은 “앞으로도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고객가치를 혁신할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발굴, 확보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AI 기술을 가장 빠르게 제공하는 인공지능전환(AX) 전문기업으로서 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사모펀드에 돈 쏟아붓는 은행들...5대 은행 36조 투자
  • FDA 재도전 불발된 HLB…무거운 분위기 감돈 주총장 [가보니]
  • 정용진·김동선도 출사표...유통가, 왜 테마파크에 꽂혔나 [K테마파크 르네상스]
  • 트럼프 “3선 농담 아냐…할 방법 있어”
  • 이혼 거치며 더 끈끈해지거나 소송하거나…다양한 부부의 세계 [서초동 MSG]
  • 김수현, 오늘(31일) 기자회견 연다…시간은?
  • [위기의 시진핑] ‘딥시크의 덫’에 빠진 시진핑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챗GPT 이미지 생성 반응 폭발…렌더링 딜레이 속출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12:3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17,000
    • -2.31%
    • 이더리움
    • 2,692,000
    • -2.25%
    • 비트코인 캐시
    • 446,800
    • -2.21%
    • 리플
    • 3,108
    • -5.42%
    • 솔라나
    • 187,000
    • -0.85%
    • 에이다
    • 973
    • -4.61%
    • 이오스
    • 862
    • -2.93%
    • 트론
    • 347
    • +0.29%
    • 스텔라루멘
    • 394
    • -3.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700
    • -2.93%
    • 체인링크
    • 19,830
    • -3.78%
    • 샌드박스
    • 401
    • -2.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