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방청 경쟁률 4700대 1…윤 대통령은 선고기일 불출석
경찰력 100% 동원 ‘갑호비상’ 대기…국회 등에 기동대 배치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결정할 탄핵심판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파면 여부를 사실상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진 헌법재판소는 막바지 준비에 바쁜 모습이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4일 오전 11시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연다. 12·3 비상계엄으로부터 122일, 소추의결서 접수로부터 111일 만에 마침표를 찍는다.
8명의 재판관은 이날 오전에도 평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결정문에 포함될 문구를 다듬고, 별개 의견과 보충 의견 기재 여부 등을 조율하는 작업이 이어지는 셈이다.
탄핵심판 결정문은 세부 의견 조율을 마치는 대로 재판관 개개인의 서명을 받아 확정된다. 이르면 이날 최종 결정문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문 낭독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맡는다.
관련 뉴스
선고 기일에는 방송사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된다. 헌재는 일반 국민 방청석 20석을 배정했는데, 이날 오후 2시 기준 방청 신청자 수는 9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경쟁률만 4700대 1에 달한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서는 일반 방청 24명 선정에 1만9096명이 몰려 79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선고 때는 60명 선정에 1278명이 신청해 21.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관심이 집중된 만큼 헌재 인근에서는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평의가 진행되는 303호를 비롯해 헌재 주요 사무실에는 커튼이 쳐졌고, 경찰과 방호 인력이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
경찰은 전날 헌재 반경 150m에 차단선을 구축해 이른바 ‘진공 상태’를 만들었다. 폭탄 테러 등의 가능성에 대비해 이날 중 경찰특공대와 탐지견을 투입해 헌재 주변에서 폭발물 탐지 검사를 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날 오전 9시부터 모든 경찰력의 절반을 동원할 수 있는 ‘을호비상’을 서울에 발령하고, 헌재 주변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선고 당일에는 전국 경찰관서에 ‘갑호비상’이 발령돼 경찰력이 100% 동원된다.
경찰은 선고 당일에 전국에 기동대 337개, 2만여 명을 투입한다. 서울에만 210개 부대, 1만4000여 명의 기동대를 집중적으로 배치할 전망이다. 국회, 한남동 관저, 용산 대통령실, 외국 대사관, 국무총리공관, 주요 언론사 등에도 기동대를 배치한다.
선고 당일 안국역은 폐쇄되고, 헌재 주변 11개 학교에 대해선 임시 휴교령이 내려진다. 인근의 주요 시중은행은 영업점 휴점에 들어가고, 주변 상인들도 선고 당일 문을 닫을 예정이다.
한편 윤 대통령은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을 예정이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이날 “윤 대통령은 내일 예정된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질서 유지와 대통령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TV로 탄핵심판 선고 생중계를 시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헌재 대심판정에는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이 출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