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절반 이상이 미래수익원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기업 60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기업 애로요인 조사' 결과, 기업의 57.2%가 '미래 수익원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고 7일 밝혔다.
규모별로 대기업의 49.8%가 이같은 응답을 했으며, 중소기업은 76.8%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54.7%), 건설업(50.0%)에 비해 서비스업(62.2%)에 속한 기업들이 미래 수익원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의 주력사업이 언제까지 성장엔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3%의 기업이 '10년 미만'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5년 이하'로 답한 기업은 17.3%에 이르렀다.
기업들은 신성장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투자비용 부담'(30.3%)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대외여건 불안'(19.4%), '제도 인프라 미비'(15.8%) 등을 지목했다. 특히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은 중소기업(36.3%)이 대기업(28.0%)에 비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래수익원 확보와 관련된 투자계획도 다소 미흡한 것으로 파악됐다.
내년 전체 투자계획 중 미래수익원 관련 비중을 묻는 질문에 기업들 10곳 중 8곳(80.9%)은 '20% 이하'라고 응답했다. '10%이하'라고 밝힌 기업은 46.7%나 됐으며 '20%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9.1%에 그쳤다.
현재 확보하고 있는 미래수익원이 어떤 분야인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32.2% 기업이 '신재생에너지'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탄소저감 에너지'(12.4%), '그린수송시스템'(9.2%) 등 '녹색기술' 분야를 미래의 성장엔진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업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64.2%의 기업이 '자체 기술개발'이라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타 기업으로부터의 기술도입'(13.5%), 'M&A를 통한 신사업 진출'(9.2%), '국가 R&D 사업에 참여'(6.9%) 등을 꼽았다.
현재 정부의 신성장동력 정책에 대해서 국내기업 58.5%가 '공감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공감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비율은 11.4%에 그쳤다.
기업들은 정부의 신성장동력 정책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녹색뉴딜, IT 코리아 5대 미래전략 등 관련정책과의 조화'(23.4%)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효율적 예산집행을 위한 모니터링 강화'(19.9%), '전통 주력산업과의 균형발전'(19.6%), '정책인지도 등 홍보활동 제고'(19.2%), 부처별 역할 조정(17.8%) 등을 꼽았다.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로 '금융 및 세제지원 강화'가 3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인력 양성'(19.7%), '관련법규 마련 및 정비'(19.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기업들의 투자여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지만 위기 이후를 잘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투자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도 임시투자세액공제제도 유지 등 세제지원 강화,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구매확대 등 민간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정책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