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일부 제약사 직원들이 리베이트를 폭로하겠다며 회사측에 모종의 협박을 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업계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리베이트 제공 혐의로 다수의 제약사가 보건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지난 29일에는 광주지역 국립병원 의사들이 리베이트 수수로 검찰에 기소되면서 수십여개 제약사가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 제약사들의 긴장감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또 최근 한 중견제약사 H사의 경우에는 승진누락자들이 인사에 불만을 품고 리베이트를 폭로하겠다고 협박, 결국 영업총책임자가 사퇴하는 일도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일부 중소제약사의 경우 내부고발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직원 독려차원에서 우리사주제를 도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과거에는 영업 말단직원들에 의해 주로 이뤄지던 리베이트 폭로가 최근에는 과장급 이상의 관리자급에서도 일어날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특히 복지부가 이달 중순경 발표할 예정이었던 리베이트 근절방안에 정부당국에 리베이트 신고시 최대 3억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경영진들의 고민도 한층 가중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A제약사 관계자는 “최근엔 윗사람들도 영업부서 눈치보기에 급급해 회사전반에 걸쳐 근무기강도 흐려졌다”며 “이로 인해 영업실적에 대한 목표제시를 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B제약사 관계자는 “현재로선 어느 제약사도 내부고발에 대해 자유로울 수는 없다”며 “정부의 내부 고발자에 대한 포상제가 확정될 경우 업계는 리베이트로 인한 후폭풍에 계속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