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등의 개발 호재가 많았던 수도권이 상승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지방 광역시는 전국 평균 상승률에 훨씬 못 미쳤다.
버블세븐 지역도 서울 강남.서초.송파.양천구와 경기 기흥.분당.동안구의 격차가 컸다.
□보금자리 등 땅값 반전 견인=전국 공시지가는 참여정부 때 큰 폭으로 올랐었다.아파트 가격 폭등 등으로 말미암아 실제 땅값이 많이 올랐고 과세표준이 되는 공시지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돼 있어 이를 현실화해 조세 형평성을 높이겠다는 정부 방침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개별 지가 변동률은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7.47% 하락했지만 2000~2002년 2.34~3.61% 오른 뒤 집값 상승분 등이 반영되면서 2003~2008년 6년 연속 10.05~18.94%의 가파른 두자릿수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러던 것이 2008년 말 닥친 세계 경제위기로 지난해 공시지가가 소폭(-0.81%)이기는 하지만 하락했다.
작년 한 해 아파트 등 주택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한 가운데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혁신도시.역세권 개발, 도로.철도.교량 등 교통여건 개선 등을 재료로 해 땅값은 전반적으로 강보합세를 유지한 게 올해 개별 공시지가 상승으로 연결된 것으로 분석된다.
□땅값 상승도 양극화 = 인천(4.49%), 서울(3.97%), 경기(3.13%)가 16개 시도 중 각각 상승률 1, 2, 4위를 기록했다. 수도권 평균 상승률(3.65%)은 전국 평균(3.03%)을 훨씬 웃돌았고, 6대 광역시 평균(1.35%)의 배 이상이었으며 시군지역(2.16%)과도 큰 격차를 보였다.
인천은 인천대교 및 인천도시철도 연장구간 개통,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 등 호재가 잇따랐고 서울은 지자체별 뉴타운 재정비촉진지구 및 도시환경정비사업 예정지역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경기도 재건축.재개발 추진과 보금자리주택지구 영향으로 주거지역은 오르고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등도 덩달아 강보합세를 나타냈다.
반면 부산(1.09%), 대구(1.69%), 광주(1.46%), 대전(1.05%), 울산(1.69%) 등 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 광역시는 모두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산은 경기침체 여파에서 회복 중이며 개발사업 진척에 따라 동부산권(기장)과 서부산권(강서)을 중심으로 지가 상승이 예상되고, 대구는 대형 산업단지 조성 지역과 대구지하철 2호선 역세권은 국지적인 강보합세를 보였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또 광주는 2015하계유니버시아드 개최, 광역도로 착공 등의 호재로 상승세를 타고 있고, 대전은 역세권 개발로 일부 땅값이 올랐으나 상권 위축으로 상업지역은 전반적으로 약보합세이며 울산은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 등의 여파가 있었다는 것이다.
서울-춘천-양양 및 제2영동고속도로 건설, 경춘선 복선화, 중앙선 확충 등을 재료로 춘천(6.21%)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인 강원이 3.14%로 전국 3위 상승률을 보였지만 제주는 0.76%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당 10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인 필지가 3.84%로 가장 많이 오른 반면 5천만원을 초과하는 서울의 100필지는 1.19% 떨어져 대조를 보였다.
□버블세븐도 서울과 경기 명암=버블세븐 지역은 평균 4.26% 뛰어 전국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그러나 강남(4.85%), 서초(4.72%), 송파(4.55%), 양천(4.43%) 등 서울 4곳과 용인기흥(2.87%), 성남분당(3.05%), 안양동안(1.60%) 등 경기 3곳의 상승 폭은 격차가 컸다.
보금자리주택지구는 시범사업지구가 평균 4.90%의 높은 상승률을 보인 가운데 경기 하남이 8.15% 치솟았고 서울 강남, 서울 서초, 경기 고양 덕양(3.79%)도 많이 올랐다.
서울 구로(5.32%), 경기 구리(4.15%), 부천 소사(3.86%) 등 2, 3차 지구도 사업이 본격화한 작년 말부터 땅값이 많이 뛰었다.
하남, 인천 계양(7.07%), 인천 강화(6.82%), 충남 당진(6.68%), 강원 춘천(6.21%), 인천 옹진(6.14%), 경기 김포(5.98%), 경기 과천(5.91%) 등의 순으로 전국 249개 시군구 가운데 246곳의 개별 공시지가가 상승했고 전남 영암(-0.93%), 충남 금산(-0.33%), 부산 사상(-0.04%) 등 3곳은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