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값이 16주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수요가 크게 위축된 탓에 기존 매물을 중심으로 매도호가가 하향 조정되면서 시세가 꾸준히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길음·미아뉴타운, 파주신도시 등에서 쏟아지는 입주물량 여파도 아파트값 하락세를 거들고 있다.
지방선거 후 개발 호재나 규제완화를 기대하는 수요도 있으나 호재들이 이미 시장에 반영된 부분이 있고 집값 상승 불안요소에 대한 부담감으로 정치권에서 규제완화를 쉽사리 내놓을 수도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은 미지수다.
전세시장은 수요가 정리돼가면서 신도시가 2주 연속 하락했고 경기는 5개월여 만에 상승세를 멈췄다. 반면 지난주 마이너스변동률을 기록했던 서울은 강남구(0.12%), 구로구(0.07%) 등이 꾸준히 오르며 금주 소폭 반등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지난달 28일부터 6월 3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값을 조사해 3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주간 매매가변동률은 -0.08%, 전세가변동률은 0.01%를 기록했다.
서울 매매가변동률은 -0.07%다.
지역별로는 강동구(-0.29%)가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어 강남구(-0.16%), 도봉구(-0.12%), 서대문구(-0.10%), 양천구(-0.09%), 강서구(-0.09%), 송파구(-0.08%), 관악구(-0.05%), 성북구(-0.05%), 구로구(-0.04%) 등이 하락했으며 도심 출퇴근이 편리한 종로구(0.04%)만 소폭 올랐다.
강동구는 재건축단지에 이어 일반 아파트들까지 매도호가가 하락하기 시작했다. 얼어붙은 매수세로 거래가 어려워지자 급매물이 등장하며 시세가 하향조정된 것. 명일동 삼익그린2차(신) 148㎡가 5000만원 하락한 10억~11억원, 삼익그린1차(구) 72㎡가 3000만원 하락한 4억2000만~4억5000만원.
강남구는 개포동 일대가 하락했다. 7월 개포지구단위계획안 발표를 앞두고 있으나 매수자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급매물도 거래가 수월치 못한 상태. 개포동 주공고층7단지 112㎡가 7500만원 하락한 10억~10억8000만원, 주공고층6단지 112㎡가 6500만원 하락한 10억~11억원.
또 대치동 일대는 대형 아파트 위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대치동 대치아이파크 152㎡가 2500만원 하락한 18억5000만~19억5000만원이다.
도봉구는 방학동, 창동 일대가 하락했다. 남양주 진접지구 등 새 아파트로 이사하려는 매도자들이 급매물을 내놓고 있으나 거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 방학동 삼성래미안2단지 122㎡가 1500만원 하락한 4억3000만~4억7000만원, 창동 주공19단지 115㎡가 2000만원 하락한 4억~4억5000만원.
경기.신도시 매매가변동률은 각각 -0.07%, -0.15%며 인천은 -0.02%다.
지역별로는 평촌신도시(-0.23%), 분당신도시(-0.21%), 김포시(-0.20%), 안양시(-0.17%), 남양주시(-0.13%), 고양시(-0.13%), 일산신도시(-0.12%), 용인시(-0.11%), 중동신도시(-0.11%), 산본신도시(-0.10%), 파주신도시(-0.10%) 등이 하락했고 오른 곳은 한 곳도 없었다.
평촌신도시 하락세가 가파르다. 급매물조차 거래가 어렵자 매도자들이 호가를 낮춰 시세에 반영됐다. 국내외 경기불안에다 지방선거 이후에도 상승세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우려가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 모습. 평촌동 꿈금호 125㎡가 2000만원 하락한 5억5000만~6억8000만원, 호계동 샘대우 125㎡가 1000만원 하락한 4억3000만~5억2000만원.
분당신도시도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바닥권이라고 여긴 일부 실수요자들이 급매물 거래에 나서고 있으나 시세를 올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 야탑동 아이파크 152㎡가 5000만원 하락한 9억5000만~11억원, 수내동 양지금호 128㎡가 4000만원 하락한 6억2000만~7억8000만원.
김포시는 풍무동 일대 중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하락세가 가파르다. 시세보다 2000만~3000만원 정도 저렴한 매물이라야 간간히 거래될 뿐 1천만원 이하로 떨어진 매물은 거래조차 안 된다. 풍무동 신동아 161㎡가 2500만원 하락한 3억~4억원, 현대 142㎡가 500만원 하락한 2억6000만~3억2000만원.
이번주 서울 전세가변동률은 0.02%로 소폭 반등했다.
지역별로는 강남구(0.12%), 구로구(0.07%), 양천구(0.06%), 성동구(0.04%), 서초구(0.04%), 종로구(0.03%) 등이 상승했고 도봉구(-0.09%), 강북구(-0.05%), 성북구(-0.04%), 노원구(-0.02%), 관악구(-0.02%) 등은 하락했다.
강남구는 개포동, 대치동 등에서 미리 움직이려는 학군수요가 유입되며 전세가가 올랐다. 물건이 귀하다보니 나오는 대로 계약이 이뤄지는 모습. 개포동 현대1차 155㎡가 2500만원 상승한 4억5000만~5억원, 대치동 삼성래미안 109㎡가 1000만원 상승한 4억3000만~5억원.
반면 도봉구는 전세시장이 한산하다. 특히 문의가 드문 중대형 아파트의 경우 시세보다 1천만원 가량 저렴하게 계약되면서 시세가 하향 조정됐다. 방학동 삼성래미안1단지 161㎡가 500만원 하락한 2억4000만~2억7000만원, 창동 삼성래미안 105㎡가 500만원 하락한 1억6000만~1억7000만원.
강북구는 미아동 일대가 하락했다. 지난 5월말부터 미아뉴타운 2500여가구 입주물량이 쏟아진 탓에 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가가 약세를 보인 탓이다. 미아동 미아뉴타운래미안1차 145㎡-1E가 500만원 하락한 2억~2억4000만원, 삼각산아이원 135㎡가 500만원 하락한 1억6000만~2억원.
같은 기간 신도시 전세가변동률은 -0.01%로 2주 연속 하락했고 경기(0.00%)는 5개월여 만에 상승세를 멈췄다. 반면 인천은 0.03%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김포시(-0.14%), 파주신도시(-0.11%), 용인시(-0.07%), 중동신도시(-0.06%), 고양시(-0.05%), 파주시(-0.03%), 일산신도시(-0.03%) 등이 하락했다. 반면 인천 연수구(0.13%), 성남시(0.09%), 수원시(0.08%), 시흥시(0.08%), 광명시(0.07%), 화성시(0.05%) 등이 올랐다.
김포시는 풍무동 일대가 매매, 전세 모두 약세를 보이고 있다. 800여가구 입주물량이 예정돼있어 기존 아파트를 찾는 수요는 더욱 줄어든 상태. 풍무동 서해메이저타운 138㎡가 500만원 하락한 1억~1억2000만원, 신동아 135㎡가 500만원 하락한 1억~1억1000만원.
파주신도시는 지난 4월 입주한 새 아파트마저 전세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중소형 아파트에서도 한 주 새 500만원 가량 전세가를 낮춘 물건이 등장하고 있으나 계약이 어렵다. 교하읍 두산위브 113㎡가 500만원 하락한 1억~1억1000만원.
반면 인천은 연수구 동춘동 일대 전세가가 올랐다. 학군, 교통 등 생활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찾는 수요가 꾸준한 편. 동춘동 풍림2차 59㎡가 1천만원 상승한 8000만~9000만원, 대우삼환 115㎡가 500만원 상승한 1억4000만~1억50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