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건설-두산메카텍, 오는 11월 합병

입력 2010-08-17 10:40 수정 2010-08-17 13: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3년 매출 5조원 글로벌 인프라·플랜트 건설 업체 도약

두산건설이 세계 1위의 화공 플랜트설비(CPE: Chemical Process Equipment) 업체인 두산메카텍을 흡수합병한다.

17일 두산그룹에 따르면 두산건설과 두산메카텍은 이날 각각 이사회를 열고 시너지를 통한 기업가치 증대와 수익성 개선, 그리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이같이 의결했다.

합병비율은 외부 회계법인의 평가에 따라 두산건설과 두산메카텍이 1대 4.13(두산메카텍 1주당 두산건설 4.13주 배정)로 정해졌다. 합병일자는 오는 11월 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매출은 두산건설이 2조3103억 원, 두산메카텍이 5657억 원을 기록했다.

두산건설은 합병 이후 자체 토목사업 역량에 두산메카텍의 화공·발전 등 플랜트 설비 제작능력과 풍부한 해외 네트워크를 접목해 '2013년 매출 5조원의 글로벌 인프라·플랜트 건설 업체'로 도약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두산건설의 시공능력·환경·에너지플랜트 분야의 역량과 두산메카텍의 화공·에너지·산업플랜트 역량이 결합되어 플랜트 부문에서 시너지 창출이 기대된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두산건설은 이번 합병으로 재무건전성과 유동성도 확보하게 된다.

두산건설은 합병을 통해 약 7000억 원 규모의 현금 및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6월말 현재 290%대인 부채비율도 합병 직후 220%대로 떨어진다. 두산건설은 2013년에는 130%대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또한 두산건설의 주택사업 비중은 합병 전 64%에서 내년에 41%로 줄어드는 반면 내년도 플랜트와 해외 사업 비중은 각각 22%, 1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두산건설 김기동 사장은 "이번 합병으로 두산건설은 ▲10대 건설사에 걸맞은 외형 확대와 자본 확충 ▲주택, 토목, 플랜트의 안정적인 사업구조 구축 ▲해외 플랜트 시장을 공략할 기반 확보 ▲재무건전성 확보 등 다각적인 효과를 올릴 수 있게 됐다"며 "최근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국내 주택시장에서 벗어나 글로벌 인프라·플랜트 건설 업체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산건설과 두산메카텍의 최대주주는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이다. 두산중공업은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두산건설 지분 63.51%, 두산메카텍 지분 100%를 보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철도파업 철회' 오늘 첫차부터 정상운행…이용객 불편 해소
  • 디지털헬스케어 토지는 비옥하지만…수확은 먼 길 [빗장 걸린 디지털헬스케어]
  • 2030년 양자기술 시장 155조원…“韓 소부장 육성 서둘러야”
  • K-제약바이오 美혈액학회’서 신약 연구성과 발표…R&D 경쟁력 뽐내
  • 새벽 인스타그램·페이스북 오류 소동…현재는 정상 운영 중
  • 이장우, 연인 조혜원과 내년 결혼 예정…6년 연애 결실 '나혼산' 떠날까
  • "이곳이 주요 정치인 구금될뻔한 B1 벙커?"
  • 계엄 사태가 부른 '디지털 망명'…정치인도 텔레그램 못 놓는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12.12 09:5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900,000
    • +4.31%
    • 이더리움
    • 5,406,000
    • +5.42%
    • 비트코인 캐시
    • 773,000
    • +6.4%
    • 리플
    • 3,345
    • +1.95%
    • 솔라나
    • 322,600
    • +6.26%
    • 에이다
    • 1,526
    • +7.39%
    • 이오스
    • 1,538
    • +5.78%
    • 트론
    • 399
    • +5.28%
    • 스텔라루멘
    • 608
    • +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150
    • +5.25%
    • 체인링크
    • 33,960
    • +9.58%
    • 샌드박스
    • 1,096
    • +12.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