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신입사원의 업무능력이 100점 만점에 평균 67점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기업의 재교육 비용도 평균 39일간 동안 217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역량별로는 신입사원의 도덕성·사회적 책임감이 71.2점, 정보·IT 활용능력은 70.8점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창의성·문제해결 능력은 65.8점, 수리활용능력이 65.2점, 전문 지식·기술의 실무적용능력은 64.6점, 비즈니스·산업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63.4점 등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전반적으로 인성역량이 평균 68.8점으로 가장 높았고 공통직무역량이 67.6점이었으며 전문직무역량은 64.6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한상의는 "신세대 대학생들이 외국어, 컴퓨터 등 스펙 위주로 취업을 준비하면서 공통직무역량은 다소 높게 평가됐지만 전공지식이나 실무능력은 기업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것"으로 풀이했다.
신입사원의 업무능력이 기대치보다 떨어짐에 따라 기업들은 재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의 91.0%가 '신입사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신입사원 교육에 드는 기간은 평균 38.9일로 집계됐다.
또 신입사원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은 1인당 217만4000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56.1일 동안 406만6000원의 교육비용을 들였고 중소기업은 28.6일 동안 118만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교육기간은 2배, 비용은 3배가 넘는 수준이다.
또한 신입사원이 혼자서 기본적인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입사원이 일상업무를 수행하는데 '6개월∼1년 이하'가 걸린다는 응답이 32.0%로 가장 많았고 '1년∼2년 이하'가 24.8%, '2년 초과'가 5.8%로 조사돼 최소 6개월은 넘게 걸린다는 기업이 전체의 62.6%에 이르렀다. 6개월 이하가 걸린다는 응답은 '3개월~6개월 이하'가 30.6%, '3개월 이하'가 6.8%로 37.4%를 차지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신입사원이 중소기업보다 일상업무 수행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71.2%는 대학에 대해 '현장실습·인턴 등 현장실무교육'을 강화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어 '인성교육'(53.8%), '전공심화교육'(46.0%) 등의 순으로 대학교육을 개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응답업체들은 기업 스스로도 '현장실무교육에 동참'(80.6%)하거나 '대학의 맞춤형 인력양성 지원'(52.6%), '연구과제 공동수행'(49.0%) 등을 통해 인재양성을 위해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정부에 대해서도 '대학 실무교육에 대한 지원 강화'(62.0%), '기업인재상 조사·연구'(56.2%), '산학협력 참여 기업 인센티브 강화'(49.0%), '인력양성사업 홍보 및 기업과 대학의 매칭 촉진'(42.0%) 등을 통해 효율적인 인재양성에 힘써줄 것을 요청했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재교육 비용은 기업에게 큰 부담일 뿐 아니라 재교육 비용의 증가는 자칫 청년취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효율적인 인재양성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