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을 살리는 유일한 방법은 용적률 상향이다.”
박해춘 용산역세권개발 신임 회장은 13일 용산역세권 사업 해결책으로 ‘용적률 상향’을 꺼내들었다. 실제로 기존의 용적률(608%)을 912%까지 끌어 올려야 한다는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의 시각도 박 회장의 판단과 대동소이하다. 용적률을 높인다는 것은 공급 면적이 많아 진다는 것으로, 단가(비용)는 낮추고 사업성(분양)은 높일 수 있다. 50층 아파트를 70층까지 올릴 수 있어 사업계획상 수지를 맞출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얘기다.
용적률을 높여 사업성이 확보되면 용산 사업의 최대 장애물인 프로젝트 파이낸싱(PF)문제가 자연스럽게 풀린다. 현재의 용적률에 사업성을 우려, 지급보증에 난색을 표하는 건설사들이 PF 조성을 위한 지급보증에 기꺼이 나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민간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부동산 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세계적인 금융 위기 이전의 잣대로 사업성을 판단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단군 이래 최대 사업에서 국내 최대 건설업체가 왜 지분을 팔고 나가고, 다른 건설업체들은 사업에 뛰어들 생각을 않는 지 이유를 잘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참여업체에 최소한의 사업성을 줘야하는데 현재의 용적률과 세계 경제 상황으로는 사업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용적률 상향의 칼자루를 쥐고 있는 서울시와 국토해양부는 아직 부정적이다. 조례개정을 통해 용적률 상향조정이 가능한 서울시는 과밀개발과 특혜시비를 우려하고 있다. 608%의 용적률이면 전체적인 도시계획에 적합한 수준이라는 주장이다. 국토부역시 용산역은 역세권개발법(용적률 150% 상향 가능)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에대해 업계는 “608%의 용적률은 현재를 평가한 잣대이지 미래 수요를 감안하는데는 미흡한 수준”이라며 “국토부와 서울시가 용산개발사업이 앞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물꼬를 터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