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이 오르면서 11월 금리인상론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물가상승률 4.1%는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인‘3.0±1.0%’를 벗어나는 수치인 만큼 이번 달에는 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지금까지의 물가 추이를 볼 때 금통위가 4개월 만에 금리를 최소 0.25% 포인트 올려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의 확산 억제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각국이 경쟁적으로 자국 통화 가치를 끌어내리려는‘환율전쟁’과 11월 소비자물가가 다시 3%대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급격한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란 의견도 커지고 있다.
◇ 11월 기준금리 인상론 무게 =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동월 대비 4.1% 상승했다. 8월 2.6%, 9월 3.6%에 이어 상승률이 가팔라지면서 1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한은 물가안정목표 상한선인 4%도 넘어선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금통위로서는 치솟는 물가를 잡지 못했다는 책임론과 금리 인상 시기를 놓쳤다는 비난 여론도 부담일 수밖에 없게 됐다. 특히 지난달 경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담 이후 환율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사라졌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11월 금리인상론이 솔솔 나오고 있다.
여기에 9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서 의장(김중수 한은 총재)을 제외한 5명 가운데 2명 인플레이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고 10월에도 일부 금통위원이 금리 인상에 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한은의 중기물가목표 범위인 2~4%를 상회한 만큼 기준금리 인상의 필요성이 높아졌다”면서 “11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 글로벌 환율전쟁이 변수 = 김 총재가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시장 결정적’환율제도에 대한 합의로“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줄었다”고 밝힌 만큼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환율공조와 관련한 추가 합의안이 마련되는 등 예측 가능한 변화가 발생한다면 금통위가 연내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은 충분해진다.
다만 환율전쟁의 불씨가 완전히 소멸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불안요소는 남아 있다. 경주 공동성명이 큰 틀에서의 합의일 뿐 구체적인 이행계획이 마련되지 않은 데다 회원국의 환율정책에 대한 구속력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각국이 경쟁적으로 자국 통화 가치를 끌어내리려는‘환율전쟁’으로 주요국 간의 갈등이 재개될 여지는 충분한 상황이다. 이에 앞서 3일 발표되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추가 양적 완화(유동성 공급) 조치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아울러 10월 물가상승률이 일시적이기 때문에 금리인상 압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음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Core CPI)는 1.9% 상승하는데 그쳤기 때문에 수요측압력은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도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로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물가가 급등하면서 금리 인상 압박이 더욱 커졌지만 지난달 금리 동결의 원인이었던 환율도 다시 하락하고 있어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예상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인플레이션 압박이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무작정 잡고 있을 수도 없는 만큼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점진적으로 제어하면서 물가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차원의 통화정책 기조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