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IT기업인 휴렛패커드(HP) 최고경영자(CEO) 레오 아포테커 사장의 아들이 최근 삼성에 다닌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화제가 됐다.
아포테커 사장의 아들인 마티유 아포테커가 다니는 곳이 바로 삼성경제연구소(이하 SERI)다. 그가 다니는 세리 미래전략실은 해외 우수 인재들로만 이뤄진 조직으로, 그룹의 미래 전략과 사업 방향을 수립하는 삼성그룹의 ‘싱크탱크(Think Tank)’다.
이곳은 지난 1997년 이건희 회장 지시에 따라 1997년 설립됐으며 해외 유수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MBA) 코스를 밟은 최고급(S급) 외국인 인재들로 구성됐다.
세리는 자타가 공인하는 삼성그룹의 ‘싱크탱크’로 발전했으며, 국내 최대의 민간경제연구소다. 지난 1986년 7월 삼성생명 부설 연구기관으로 출발한 세리는 1991년 현재의 삼성경제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고 ‘세리(SERI)’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박사급 90명, 석사급 70명 등의 연구인력과 실무진을 포함해 280명의 인원으로 가동되는 세리는 △경영 △경제 △산업 △정책 등 4개의 큰 디렉토리의 각종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정책 연구분과에서는 경영 및 경제관련 정책에 그치지 않고 노동, 통일, 금융, 사회 등 국내에서 벌어지는 모든 현상에 대한 경제·경영적 의미를 연구하고 있어 사실상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는 곳이기도 하다.
이곳은 정기영 소장의 말처럼 개인과 조직이 사회현상에 대해 준비와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주요 추세를 분석하는 일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와 국가의 주요의제(Agenda)를 설정, 여론을 주도한다.
미국의 보수 본산이라 불리는 헤지티지재단의 한국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삼성그룹 계열사들은 세리에서 발표하는 이듬해 환율, 유가 등 경제전망 내용을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또 글로벌 경영환경이 변할 때마다 세리의 자문을 얻으면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등 삼성그룹 경영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세리의 역할은 삼성그룹 내의 싱크탱크에 그치지 않는다. 국정과제에 대한 화두를 제시하고 정부의 정책방향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노무현 정부 시절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세리의 ‘국정과제와 국가 운영에 관한 어젠다’라는 400여 쪽 분량의 방대한 보고서가 제출돼 참여정부의 국정 방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노무현 정권의 ‘참여정부’라는 명칭도 세리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참여정부 시절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 △동북아 금융 허브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화 등의 슬로건과 아젠다 등도 세리의 보고서가 바탕이 됐다.
이처럼 민간경제연구소가 국가정책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삼성 특검을 불러 일으켰던 장본인인 김용철 변호사는 최근 한 언론의 대담에서 “삼성이라는 조직이 정말 무서운 것은 삼성전자나 생명이 아닌 삼성경제연구소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변호사와 대담을 같이 했던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도 “삼성경제연구소가 만들어내는 ‘삼성에 좋은 것이 한국에 좋은 것’이라는 이데올로기를 극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세리의 영향력을 비판하기도 했다.
세리가 한국사회에 또 다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이유는 인맥이다. 공정거래위원장과 국세청장을 거쳐 청와대 정책실장이라는 요직을 차지하고 있는 백용호 실장은 지난 2002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장으로 취임하기 전 세리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공정위원장 시절 삼성그룹의 골칫거리(?)였던 금산분리 완화, 출총제 폐지 등을 주장하며 세리와 같은 논지를 펼치기도 했다.
이외에 이명박 정부 들어서도 김휴종 청와대 문화체육관광 비서관, 민승규 농수산비서관 등이 세리에 몸 담았던 인물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