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수능시험을 마친 고3 수험생 임선아(19)양은 스마트폰을 과외선생님이라 부른다. 1분 1초가 아까운 수험기간 동안 스마트폰을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 교육방송을 통해 부족한 과목을 보충할 수 있었다.
서울 강남구청이 운영하고 있는 모바일 인터넷수능방송 덕분이다. 강남구청은 지난 8월부터 SK텔레콤과 함께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수능과 내신 교육전문 인터넷강의를 모바일로 서비스하고 있다. 그녀는 복잡해진 대학 입학 전형역시 다양한 ‘진학상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를 얻을 계획이다.
이 처럼 전국의 수험생모두 스마트폰을 통해 알짜 수능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걸까. 아니다. 이들 대다수는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쏠려 있고, 지방에는 극소수만 해택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내 손안의 PC’라고 불리는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시대와 웹 2.0 시대가 지나고 모바일 시대가 우리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여부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정보 격차인 모바일 디바이드(격차)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시대에도 ‘벽’은 존재한다= 정보격차는 새로운 정보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에 경제적·사회적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자유로운 정보의 공유를 목적으로 탄생한 인터넷, 정보의 가공과 원활한 흐름을 위해 사용되는 IT가 모든 계층에 평등하게 제공되지 못해 또 다른 차별적 요소가 되는 불합리한 상황을 연출시키는 것이다.
특히, 최근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해 과거에는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정보격차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과 일반휴대폰과의 경계가 무너지고 대중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쥔 자와 그렇지 않은 자와의 정보격차와 소외현상은 심화되고 있는 것.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총 4960만명의 이동통신 가입자 중 4.9%에 해당하는 247만 명이 현재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반면, 74만 명의 저소득층(이동통신사에서 통신비감면 혜택을 받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중 2.7%인 2만 명만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처럼 저소득층의 스마트폰 이용률이 일반에 비해 절반수준밖에 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단말기 가격이 비싸 초기 진입장벽이 존재하는 것 외에도 단말기 구입 시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정액요금제를 이용해야하는데 이 정액 요금이 너무 비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아이폰 분포지역 한국 재산지도와 비슷= 오는 28일 국내 출시 1주년을 맞는 아이폰은 162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가입자 160만명 가운데 69%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특히 서울은 전체 아이폰 가입자의 전발가량인 42%를 차지하고, 이 중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비율은 27.5%였다.
특히, KT가 올 상반기에 집계한 아이폰 가입자 분석자료에서 가입자 지역 분포는 대한민국의 ‘재산지도’와 유사하게 형성돼 있다.
지난 2008년 기준으로 개인 벌이에 따라 매기는 세금인 소득세 가운데 서울에서 걷히는 게 52%에 이르는 등 아이폰 가입자 69%가 수도권에 쏠려있는 것과 유사하다.
반면 지방으로 가면 아이폰 가입자와 소득세 비율의 하락이 같은 궤를 그린다. 부산·경남은 전체 아이폰 가입자의 8.5%와 전체 소득세의 10.4%를 차지한다. 대전·충청은 아이폰 가입자 6.1%와 소득세 5.3%, 대구·경북은 아이폰 가입자 4.7%와 소득세 4.9%의 비율을 보였다. 호남권은 아이폰 가입자 4.9%, 소득세 3.6%로 가장 낮았다. 결국 아이폰
을 사는 것과 개인의 부가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
때문에 급속히 발전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정보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통신사들의 투자는 수도권에 집중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이통사 가운데 가장 많은 와이파이를 보유한 KT의 경우 전체 1만3000여 개 가운데 절반가량이 수도권에 집중됐을 뿐만 아니라, 올해 말까지 추가할 계획인 1만4000여 개도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될 전망이다. 지방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값싼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려고 해도 해당 인프라가 적어 수도권 사용자에 비해 차별을 받는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연일 스마트폰에 대한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유명인들이 일상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모습이 TV에 등장하면서 지방의 이용자들도 스마트폰을 쓰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면서 “모바일 정보화 역기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확실한 대책이 정부와 통신사업자, 제조사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