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경증질환 모호...결국 저소득층 환자만 피해 볼 것”
특히 병원협회는 건강보험 재정이 바닥을 치고 있는 가운데 국민 눈치 보느라 차마 보험료를 인상 못하고 간접세에 해당하는 환자 부담률만 높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한병원협회 김완배 실장은 “경증질환인지 여부는 환자가 판단하는 게 아니라 의사가 진료하는 것인데 극단적으로는 상급병원에서 진료를 받기 위해 진료왜곡이 나타나는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 “이미 경증질환 외래환자수가 적기 때문에 약가 부담률 인상을 통해 일부 외래환자의 부담만 늘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 역시 경증 환자 부담률을 올린다고 해서 대형병원 쏠림현상을 막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김태현 국장은 “환자의 약값 부담률만 늘릴 것이 아니라 경증환자를 받은 병원 측의 수가나 급여비를 깎는다든지 병원에 대한 조치도 수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국장은 “경증질환에 대한 개념이 모호하고 다빈도 질환으로 분류하더라도 그 중에는 대형병원의 진료가 필요한 환자가 포함될 수 있다"면서 "그러면 결국 저소득층 환자가 상급병원의 진료에서 제외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형병원 환자 본인부담 인상안을 철회하고 의료기관의 눈치를 보지 말고 약제비 비중 축소, 대형병원의 무분별한 진료행위 규제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반면, 정부는 경증질환 환자들이 대형병원을 찾는 것이 통계로 나타나고 있는 만큼, 제도 시행에는 별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이라는 큰 틀에서 보면 상급종합병원은 연구기능 위주로, 의원은 가벼운 질병 위주로 진료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선택의원제를 도입해 1차 의원의 진료서비스 질을 높임으로써 국민들이 굳이 경증질환에 있어서는 대형병원을 찾지 않아도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