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코레일이 한국형 고속열차인 'KTX-산천'에 대해 사실상 '리콜'이라는 극약처방을 내린 것은 지난 7일 발견된 KTX-산천의 결함이 단순 제작 차원의 문제를 넘어섰다는 판단에서다.
그대로 내버려 둔다면 탈선 등 KTX-산천 운행 자체에 심각한 위험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무게만 0.5톤에 이르는 '모터감속기'가 KTX 하부 차체에서 탈락, 선로로 떨어졌을 경우 차체와의 충돌은 물론 차량의 무게중심이 균형을 잃어 탈선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까닭이다.
브라질과 미국 수출을 추진하고 있는 과정에서 이례적인 리콜은 이런 이유에서 코레일의 고육지책이었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에서 조차 수출 회의론마저 나오고 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인 것.
리콜의 발단이 된 7일 사고가 대표적인 예이다. 코레일에 따르면 이날 새벽 고양차량기지에서 사전 검수도중 KTX-산천 2호차의 '모터감속기' 고정장치(고정대)에서 심각한 균열을 발견, 이 열차의 운행을 중단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부품의 결함 등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고정장치 균열로 차량 부품이 선로로 떨어진다는 것은 상상도 해보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또 KTX-산천의 제작상 결함이 최근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KTX 운행 장애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라는 판단도 크게 작용했다.
국내 기술로 제작된 KTX-산천은 지난해 3월부터 지난 1년여간 41차례의 크고 작은 자체 고장을 일으킨 것으로 최근 국토해양부 조사결과 드러났다.
실제 지난해부터 외부에 알려진 KTX의 사고ㆍ운행 장애 14건 가운데 8건이 KTX-산천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KTX 열차 운행 중단에 따른 코레일 이미지 손실은 물론 요금 환불, 승차권 재발급 등 운영 손실만 3억여원에 이르고 있다.
특히 KTX-산천의 고장에 따른 비난의 화살이 철도운영자인 코레일로만 쏟아지면서 내부에서는 볼멘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또다른 코레일 관계자는 "완벽한 기술개발없이 너무 서둘러 영업운전에 나서다 보니 잦은 고장을 일으키고 있는 것 같다"며 "일부에서는 코레일이 KTX-산천의 '시험운전'을 대신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불만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제작사인 현대로템이 국내에서는 경쟁상대 없이 독점적으로 철도차량을 제작하다보니 기술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없지않다.
하지만 열차의 고장, 운행장애는 차량 문제 뿐만 아니라 선로ㆍ신호 시스템, 선로-차량 인터페이스(호환성), 운영상의 인적오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이어서 제작 결함만으로 몰고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있다.
현대로템측은 "그동안 발생한 KTX-산천의 운행초기(2년) 고장률은 프랑스 TGV 등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대부분 단기간에 정상화할 수 있는 고장이었다"고 밝혀왔다.
또 불거진 차량 결함이 경미한 문제로 밝혀질 경우 국가 정책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KTX-산천의 수출 등 '국익'을 저해했다는 비난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국토부 내부에서 조차 '수출 회의론'이 나올 정도로 KTX-산천의 사고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다. 아직 해외 시장에 명함 한번 내밀어 보지 못한 KTX-산천을 수출하려면 안전은 물론, 뛰어난 성능이 검증돼야 하는데 잇따른 사고로는 선진국 열차와 경쟁해봤자 필패가 불보듯하는 얘기다.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해외 바이어들이 깐깐하다. 아직 해외에 선뵌 적이 없는 KTX-산천 차량이라면 더욱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것"이라며 "게다가 사고까지 잇따라서야 수출이 가능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 고위 관계자는 "국가 정책과 관련된 사안이어서 KTX-산천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가 어렵다"면서 "안전 중심으로 철도를 운영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제작사측과의 기술적 협의 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