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인도 프로젝트' 청신호

입력 2012-03-27 14: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지문제 해결 실마리…연내 착공할 듯

포스코의 인도 오리사주 일관제출소 건설에 파란불이 커졌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인도의 만모한 싱 총리는 지난 25일 이명박 대통령과 가진 양자회담에서 오리사주 프로젝트 이행의 중요성을 공감한 것으로 알려져 7년째 토지매입 문제로 지체해 온 12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포스코와 오리사주 정부는 지난 2005년 연산 1200만톤 규모의 일관제출소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지만, 광산 탐사권과 환경문제 등으로 아직까지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당시 맺은 양해각서도 갱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사 지연은 포스코에게 제철소 건설 비용 증가와 함께 아시아 시장 네트워크 구축 계획도 차질을 빚고 있다.

이와관련, 인도 현지언론은 싱 총리와 이 대통령의 양자회담을 언급하며 다음달 초 인도 오리사주가 1092만6512㎡에 달하는 공사 부지를 포스코에 넘길 것이라고 지난 26일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이르면 6월 안에 일관제철소 건설이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싱 총리는 회담 직후 2012~2017년 인도 범정부 차원의 인프라 개발에 1조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히며 한국 기업이 고속도로·항구·공항·지하철·발전소 건설 사업에 적극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 이같은 이유로 싱 총리의 오리사주의 결정은 ‘서울핵안보정상회의를 앞두고 주정부와 논의한 결과물’이라고 현지 언론은 해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포스코는 “공식입장을 표명하기에 여러가지 복합적인 측면이 있다”며 “인도 정부와 공식적인 사업 내용이 오가는 상황이 아니라 결과를 신중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지난 2005년 오리사 주정부와 6억톤의 광권을 받는 조건으로 연산 1200만톤 규모의 일관제철소를 짓기로 계약했다. 전체 사업비만 120억 달러로 포스코의 해외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다. 이를 위해 현재 취득한 토지는 202만3428㎡로 오리사주로부터 토지 1092만6512㎡를 받게 되면 80%에 달하는 공사 부지를 확보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핵심은 철광석 광산 현지에 일관제철소를 건설 후 생산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다는 전략이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지난해 2011 CEO 포럼에서 “늦어도 올해 상반기 중에는 오리사주 일관제철소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며 “환경문제는 몇 가지 전제조건을 걸고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있어, 인도 환경부가 검토통해 상반기에는 결론을 낼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K-코인 신화 위믹스…신화와 허구 기로에 섰다 [위메이드 혁신의 민낯]
  • [르포]유주택자 대출 제한 첫 날, 한산한 창구 "은행별 대책 달라 복잡해"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11시 월드컵 3차예선 오만전…중계 어디서?
  • 연세대 직관 패배…추석 연휴 결방 '최강야구' 강릉고 결과는?
  • 제도 시행 1년 가까워져 오는데…복수의결권 도입 기업 2곳뿐 [복수의결권 300일]
  • 불륜 고백→친권 포기서 작성까지…'이혼 예능' 범람의 진짜 문제 [이슈크래커]
  • 전기차 화재 후…75.6% "전기차 구매 망설여진다" [데이터클립]
  • “고금리 탓에 경기회복 지연”…전방위 압박받는 한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9.10 09: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7,070,000
    • +3.25%
    • 이더리움
    • 3,190,000
    • +2.18%
    • 비트코인 캐시
    • 435,400
    • +4.74%
    • 리플
    • 726
    • +1.11%
    • 솔라나
    • 182,000
    • +2.65%
    • 에이다
    • 464
    • +0.43%
    • 이오스
    • 668
    • +2.61%
    • 트론
    • 209
    • +0.97%
    • 스텔라루멘
    • 126
    • +2.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50
    • +3.06%
    • 체인링크
    • 14,220
    • +0.71%
    • 샌드박스
    • 344
    • +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