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의 한국인 진출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한마디로 눈물겹다. 국제기구 진출이 늘어나야 정책결정의 권한이 있는 수장이나 국장 이상 임원도 배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 정부는 다양한 국제기구 진출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전략을 수립해 한국인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성과가 2010년 세계은행(WB)과 기획재정부가 ‘국제기구 초급 전문가(Junior Professional Officer, JPO)’2명을 파견키로 합의한 것이다. JPO는 세계 각국의 정부가 자국 인력을 선발해 국제기구에 2년간 파견하고, 이 기간의 인건비를 비롯한 각종 비용은 정부가 부담하는 제도다. 이 제도를 통해 진출한 인재들은 2년 뒤 50% 이상이 국제기구의 정식 직원으로 채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IMF, WB 등 국제금융기구 채용박람회를 개최해 각 조직의 인사담당 직원 등이 직접 참석해 인터뷰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했다. 2009년 63명, 2010년 총 80명이 인터뷰에 응했고, 이를 통해 각각 8명, 13명이 정규직원 및 인턴 등으로 채용되는 성과를 거뒀다.
수면 아래에서 국제기구에 사람을 집어넣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앵벌이’라고 할 만큼 필사적이다.
은성수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관련 인사들이 한국에 무언가 요청할 때 우리 정부도 국제기구에 자리 만들어달라고 요구한다”며 “내 친척이나 지인이 한국의 공기업 등에 취직시켜 달라고 하면 ‘청탁’이지만 국제기구에 사람을 넣기 위한 우리의 노력은 국익에 도움되는 것이기 때문에 ‘앵벌이’를 해서라도 성사시키려고 애쓴다”고 말했다.
장관 역시 국제기구 사람 만날 때 마다 자리를 만들어 달라고 대놓고 요청을 하고, 그들도 한국 정부가 부탁을 들어주면 자리를 만들기도 하는 은밀한 거래가 물밑에서 진행된다는 건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얘기다.
이처럼 국제기구 진출에 정부까지 나서서 심혈을 기울이는 건 한국과 관련된 정책 입안이나 결정에 한국인이 있으면 용이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1990년 말 IMF의 일방적인 요구에 온 국민이 뼈를 깎는 고통을 당한 것도 IMF에 우리 입장을 대변할 만할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경험이 이를 말해준다.
은 국장은 “국제기구 진출은 많은 한국 젊은이들이 직장을 얻는다는 측면과 국제 사회 기여에도 있지만 우리 사람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부분을 챙기는 몫도 있을 것”이라며 “이 때문에 정부가 사람을 키워내려는 노력을 계속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