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선산업 역량을 바탕으로 해양플랜트산업 강국에 도전한다. 오는 2020년 해양플랜트시장이 32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800억달러 규모 수주를 목표로 선점에 나선 것이다.
지식경제부는 9일 부산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2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를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는 석유·가스 등 해양 자원개발 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건조·설치·공급하는 산업을 말한다.
보고서는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2020년까지 800억달러로 늘리고 엔지니어링, 기자재 등 국내 수행비율도 60%로 높이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산기자재의 경쟁력 강화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프로젝트 개발에서 엔지니어링·건조에 이르는 종합역량 확보 △해양플랜트 산업의 클러스터 기반조성 등 종합 육성방안을 마련했다.
지경부는 세계 에너지 수요 상승과 고유가 지속에 따라 해양에너지 발굴·시추·생산하는 해양플랜트 시장이 2010년 1400억달러에서 2020년 3200억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국내 기업의 해양플랜트 시장 매출은 257억달러(조선3사 집계)를 수주해 249억달러의 선박 수주실적을 넘어섰다.
지경부는 대형조선소들이 앞으로 해양플랜트 수주에 더 집중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에 기본설계에 활용할 광구가 없어 엔지니어링을 수행할 수 없고, 기자재 선정권한을 가진 엔지니어링을 수행하지 못해 기자재 국산화율 이 20%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FPSO, 드릴쉽 등 해상플랫폼 건조에 강점을 가진 국내 조선사들은 광구의 활용이 불가능해 시장규모가 더 큰 심해저(Subsea) 시장에 아직 진출을 못하고 있다.
지경부는 중국 등 후발경쟁국들이 상선건조 시장을 위협할 뿐 아니라 해양플랜트에서도 보유광구를 활용해 산업을 육성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집중 발전 방안을 통해 제2의 조선산업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국산기자재의 경쟁력을 높인다. 핵심기자재 위주로 100대 전략품목을 선정하고 기자재 시험인증 기반을 확대한다. 납품에 요구되는 수행실적(Track Record) 확보를 위해 석유·가스공사 등이 발주하는 플랜트에 기술개발 기자재를 적용한다.
또 전문엔지니어링 역량을 확보한다. 기존 조선분야 설계인력의 전환을 지원하고 외국 교육기관, 해외 주재 한인 전문가를 단기 강사요원으로 활용한다. 해양플랜트 석·박사 학위과정을 확대하는 등 교과과정에서도 해양플랜트로 유도할 예정이다.
그밖에 해저·해상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종합역량을 강화하고 인프라 조성을 위해 지역별 특화된 분업구조를 구축한다. 여기에 해양플랜트 지원선(OSV) 분야의 기초설계 능력향상 및 관련기업 간 연계를 통해 클러스터 구출으로 중소조선업체 진출을 지원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불황을 겪고 있는 중소조선 및 조선기자재기업에게도 사업 다변화 측면에서 해양플랜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