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 문제는 이미 현실화 되었으나, 더욱 크고 중요한 문제가 잠재되어 있다. 바로 노인과 젊은이 사이의 세대 간 갈등 문제이다. 고령화로 인해 청년층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들이 점차 많아져 젊은 세대는 많이 부담하고 적게 혜택을 볼 수밖에 없게 되면서 이들 계층 간 갈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최근 LG 경제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60대는 조세나 사회보장에 있어 평생에 걸쳐 얻는 순혜택이 2억 원에 달하지만, 30대는 오히려 1억 원 넘게 손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격차는 고령화가 진전 될수록 더욱 확대될 것이며, 세대 간 갈등 문제는 국가 재정 위기를 초래하고 사회통합에도 큰 저해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웃 일본에서는 이미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국민연금 납부 거부 운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젊은 세대의 연금 납부율은 60%에 그치고 있다. ‘빨리빨리’ 진행되는 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려면 준비도 ‘빨리빨리’ 해야 한다. 젊은 세대의 경우 이미 공적연금의 재정위기에 따른 수령액 감소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 같은 사적연금을 활용하여 노후생활을 스스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 미리, 조금씩 그리고 오랜 기간을 준비하는 적소성대(積小成大)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준비해야 할 것이다. 빠른 준비는 느긋한 은퇴생활을 기약한다. 정부에서도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젊은 세대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특히 장기간에 걸쳐 적립한 은퇴자산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더욱 확대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신구간의 복지 형평성에 대한 지루한 갈등의 악순환을 끝내는 정책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우리 경제의 든든한 주춧돌 역할을 하는 장기 금융자산 확충이라는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8월로 예정된 정부의 연금소득 관련 세제개편에 거는 기대가 크다. 물론 사적연금 활성화를 위한 세제혜택은 단기적 세수 감소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세제개편에 대한 효과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남유럽의 연금재정 위기로부터 촉발된 유로존 경제 전체의 위기를 거울삼아, 위험을 ‘빨리빨리’ 헤지(Hedge)하는 역발상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성주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