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후보 지지세력들은 정보민주주의, 정보과학(IT),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소셜 혁명을 받들며 안 후보가 시대의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한다.
반면 고개를 갸웃거리는 쪽에서는 지금 그에게 쏠리는 지지의 상당 부분은 메시아를 기대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당정치의 당위와 양당제라는 정치공학적 현실을 생각했을 때 실제 국정 운영에 있어서는 미흡할 것이라고 평가절하한다.
그가 출마선언에서 약속한 대로 ‘국민이 선택하는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낼 사람인지, 아니면 ‘알맹이 없는 신드롬’인지는 대선을 80여일 앞둔 현 시점에도 명확히 드러나지 않고 있다.
◇남 다른 이력, 남 다른 대권행보 = 안 후보는 의사에서 백신 개발자, 성공한 벤처 사업가, 전문경영인, 대학 교수에 이르기까지 활동영역을 넓혀왔다. 그 이후 ‘시골의사’ 박경철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원장과 함께 전국 각지에서 청춘콘서트를 열면서 대중과의 접점을 넓혔고, 이로 인해 ‘젊은이들의 멘토’라는 별명도 얻었다.
그러다 지난해 9월 서울시장 출마를 고려한다는 사실 만으로 압도적인 대중의 지지를 얻으며 정치권의 핵으로 떠올랐다. 당시 박원순 후보에게 후보 자리를 양보하면서 대중의 호감을 샀다. 한껏 주가를 올린 안 후보에게 대선 출마 권유가 쏟아진 것도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그는 대선을 불과 90여일 앞두고 “국민의 열망을 실천해내는 사람이 되려 한다”며 출마를 선언, 유력한 대권후보가 됐다.
안 후보는 혁신경제와 정치쇄신에 초점을 맞춘 대권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워크 포럼 ‘내일’과 정치쇄신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혁신 포럼’을 통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토론하며 공약을 집대성하고 있다.
그는 “성장과 일자리 창출 없이 경제민주화만 이야기하는 것은 바퀴 하나가 없는 자전거와 같다”며 “성장을 통해 확보된 재원으로 복지와 경제민주화가 활성화하고, 이것이 사람들의 혁신과 창의성으로 이어져 다시 성장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를 만드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한다”는 철학을 밝혔다.
또 정치권을 향해서는 “국민의 반을 적으로 돌리면서 통합을 외치는 것은 위선”이라며 “이런 일이 계속된다면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통합과 사회문제 해결은 요원한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지난 7월 자신의 대선 공약집으로도 볼 수 있는 대담집 ‘안철수의 생각’을 통해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큰 틀의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재벌개혁을 통해 대기업 특혜를 폐지하고, 중소기업을 중점 육성하는 경제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실 정치로 발을 디딘 만큼 풀어야 할 숙제도 적지 않다. 특히 국정운영 능력과 권력의지 등 국가를 이끌 리더로서의 자질이 검증대에 오를 전망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후보의 첫 번째 자질로 꼽히는 국정운영 능력과 정치 경험이 없다는 점은 안 후보의 최대 약점이다.
하지만 안 후보는 대담집 ‘안철수의 생각’에서 “낡은 체제와 결별해야 하는 시대에 나쁜 경험이 적다는 것은 오히려 다행인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출마 선언 기자회견에서는 “저는 정치경험 뿐 아니라 조직도 없고, 세력도 없지만, 그만큼 빚진 것도 없다”며 “정치경험 대신 국민들께 들은 이야기를 소중하게 가지고 가겠다”고 약속했다. 또 “빚진 게 없는 대신, 공직을 전리품으로 배분하는 일 만큼은 결코 하지 않을 것”이라며 기존의 통념에 일침을 가했다.
안 후보는 또 “IT, 의학, 경영 등 다양한 현장 경험이 플러스가 됐으면 됐지 마이너스는 되지 않을 것”이라며 회사를 창업해 키워 온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강조했다.
그러나 기업 경영 경험이 정치의 영역에서 얼마나 통할 지 의문이다. 무엇보다 이명박 대통령이 성공한 CEO를 자임했지만, 국정 운영에는 실피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도 안 후보에게는 마이너스 요인이다.
또 대통령에게는 누적된 경험과 조직된 힘을 빌려 실수를 최소화하는 국가 위기관리 능력도 필요하지만, 정치 경험이 없는 안 후보의 ‘소통과 공감의 리더십’이 이런 차원까지 나아갈 수 있을 지도 의문이다.
경제민주화나 재벌개혁을 주창하는 것과 이를 실행에 옮기는 것은 별개의 일이기 때문에 조직과 권력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