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영유아복 우리나라가 가장 비싸"

입력 2012-11-27 2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소비생활연구원, 영유아복 브랜드 가격 분석

백화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해외직수입 영·유아복의 가격이 미국과 일본 프랑스 등 외국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싸게 팔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생활연구원은 국산 및 수입 영유아복(국산 34개·직수입 15개·라이선스 브랜드 13개)의 가격과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백화점에서 판매되는 국산 브랜드의 평균 가격은 7만1254원, 라이선스 브랜드는 6만8290원이었다. 직수입 제품의 가격은 13만1823원으로 국산의 2배에 가까웠다.

또 국산 제품의 가격에서 백화점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36%에 달했다. 백화점 내 판매사원 수수료까지 합치면 유통비용은 51%를 차지했다. 반면 제조원가는 불과 25%에 지나지 않았다.

직수입 제품은 수입과정에서 관세, 물류비 등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한국지사 등 중간 유통단계가 늘어나 유통비용의 비중이 약 70%에 달한다.

아울러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 4개국에서 모두 판매하는 티셔츠 4개 제품의 가격을 비교한 결과 한국이 100일 때 프랑스가 92.4, 미국이 90.6, 일본이 88.9였다.

영유아복 소비자가격에 거품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듯 대부분의 유통업체는 할인판매를 하고 있었다.

조사 대상 브랜드의 93.4%가 할인 판매를 진행했고, 30% 이상 할인하는 업체도 9.6%에 달했다.

소비자 인식도 조사 결과 응답자의 82.7%는 '성인 옷에 비해 유아복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했다. 92.6%는 '유명 브랜드는 가격이 비싸다'고 했다.

이밖에도 영유아복의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적정 구입가격과 실제 구입가격의 차이도 컸다.

원피스의 실제 구입가격은 '10만원 이상'이라는 응답이 31.1%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적정 구입가격은 '5만~7만원 미만'이 34.3%로 가장 많았다.

소비생활연구원의 이혜영 실장은 "경쟁을 통해 수입 영유아 브랜드의 가격을 낮추고, 소비자들도 합리적인 구매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21,000
    • -0.43%
    • 이더리움
    • 2,305,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494,600
    • +0.94%
    • 리플
    • 3,014
    • +0.33%
    • 솔라나
    • 194,100
    • +0.31%
    • 에이다
    • 908
    • +1.11%
    • 이오스
    • 911
    • -0.22%
    • 트론
    • 349
    • -3.06%
    • 스텔라루멘
    • 350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10
    • +1.95%
    • 체인링크
    • 18,280
    • +0.55%
    • 샌드박스
    • 377
    • +4.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