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니아, 신약 독성예측 물질 개발 결실

입력 2013-08-22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채제욱 바이오니아 유전자신약연구소장, 입사 3년 만에 상용화

1992년 바이오벤처 1호 기업으로 설립된 바이오니아는 매출액의 30% 이상을 꾸준히 연구개발에 투자해 유전자 연구에 필수적인 첨단시약과 장비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기술력이 매출로 이어지지 못해 회사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구세주로 등장한 것이‘GPScreen(신약후보물질 약물작용점 규명 서비스)’이다.‘GPScreen’은 신약 후보물질의 독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로 이 기술을 적용하면 신약개발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바이오니아가 이 기술을 보유할 수 있게 된것은 유전자신약연구소 채제욱 소장의 공로가 크다. 채 소장은 미국에서 대학을 나와 연구활동을 하다 바이오니아의 성장성을 보고 3년 전 입사했다. 입사 이후 채 소장은 ‘GPScreen’개발에 몰두했고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신약을 개발하는 기간은 10~15년, 비용은 1~2조원이 들어간다. 신약을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독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효능이 아무리 좋은 약이라해도 사람에게 투입했을 때 독성반응이 나타나면 약으로써 가치가 없다는 게 채 소장의 설명이다.

GPScreen은 신약개발 과정에서 사람의 유전자와 흡사한 약 5000개의 효모를 이용해 독성을 예측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수년간의 실험과 연구를 통해 안정성과 정확성 역시 충분히 검증했다.

채 소장은 “신약개발에서 가장 많은 임상단계에 가기 전 이 기술을 적용하면 비용과 개발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신약 후보물질의 작용점을 규명하는데 이 기술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채 소장은“GPScreen은 신약개발의 가장 큰 고민거리를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기술”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술 개발을 위해 바이오니아는 지난 2001년부터 약 100억원을 투자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국 왕립 암연구소와 10년간의 공동 연구를 해왔고 셀, 사이언스, 네이처 등 세계적인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되기도 했다.

채 소장은 이 기술을 통해 △신약 개발의 독성예측 △개발과정에서 탈락한 죽은약 살리기 △개발된 약의 새로운 효능 찾기(reposition)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6년 전에도 태풍 '종다리' 왔다고?…이번에도 '최악 더위' 몰고 올까 [이슈크래커]
  • 드림콘서트 30주년…그 시절 치열했던 팬덤 신경전 [요즘, 이거]
  • 사라진 장원삼…독립리그와의 재대결, 고전한 '최강야구' 직관 결과는?
  • 단독 외국인 유학생 절반 "한국 취업·정주 지원 필요"…서열·경쟁문화 "부정적" [K-이공계 유학생을 잡아라]
  • 증시 떠나는 지친 개미…투자자예탁금·빚투 대신 ‘CMA·MMF’ 쏠리네
  • ‘전세사기특별법’ 합의...여야 민생법안 처리 속전속결[종합]
  • 잭슨홀 미팅, 어느 때보다 의견 갈릴 듯…투자 불확실성 최고조
  • '14경기 강행군' 신유빈, 결국 어깨 부상…한 달 휴식키로
  • 오늘의 상승종목

  • 08.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089,000
    • +0.22%
    • 이더리움
    • 3,550,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459,500
    • -0.26%
    • 리플
    • 819
    • -0.49%
    • 솔라나
    • 196,400
    • -0.36%
    • 에이다
    • 468
    • +1.74%
    • 이오스
    • 670
    • +0.6%
    • 트론
    • 209
    • +8.29%
    • 스텔라루멘
    • 132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650
    • -0.69%
    • 체인링크
    • 13,910
    • +1.02%
    • 샌드박스
    • 356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