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테이퍼링 가속화하나...연휴에 주목할 해외 주요 이슈

입력 2014-01-29 08:50 수정 2014-01-29 0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주식시장은 설 연휴로 휴장에 들어가지만 미국을 비롯해 글로벌 시장에서는 굵직한 이슈들이 이어진다.

최근 신흥국 통화시장과 글로벌 증시가 요동친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추가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여부에 쏠려 있다.

연준은 29일(현지시간) 이틀 동안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치고 통화정책을 공개한다.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회의는 이달 말 퇴임하는 벤 버냉키 의장이 마지막으로 주재한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자산매입 규모를 현재의 75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로 100억 달러 축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준은 지난 2012년 9월부터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자 450억 달러 규모의 국채와 주택담보부채권 400억 달러를 매월 매입하는 3차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했으며 지난해 12월 FOMC에서 이 규모를 각각 50억 달러씩 줄이기로 했다.

전문가들이 추가 테이퍼링에 무게를 싣는 이유는 최근 경제지표가 호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실업률이 6.7%까지 떨어져 연준이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기준으로 삼은 6.5%에 근접한데다 성장률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일각에서는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2%)에 아직 도달하지 못했고 고용시장의 질적 향상이 더디다며 추가 테이퍼링이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2월 1일에 취임하는 재닛 옐런 차기 의장은 3월에 열리는 FOMC를 주재하게 된다.

지표 중에서는 이달 30일 공개되는 미국의 4분기 GDP 예비치 결과에 이목이 쏠려 있다. 월가는 3.3% 성장을 점치고 있다. 3분기에는 4.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같은 날 HSBC와 마르키트의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가 공개된다. 블룸버그 집계 전망치는 예비치와 같은 49.6으로 확장 기준선인 50을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급락세를 겪는 신흥국의 통화 가치에도 주목해야 한다. 인도와 터키 등 신흥시장 주요국이 금리인상에 나서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화 가치가 약세를 지속하면 한국 증시에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단독 맘스터치, 국내서 드라이브스루 도전장…내달 석수역에 문 연다
  • 추석 명절 스트레스 1위는…"언제 오니?" 시댁 전화 [그래픽 스토리]
  • 추석 연휴에 아프면?…"경증이면 병·의원, 큰 병 같으면 119"
  • “별다방서 처음 맛보는 마티니 한잔”...스타벅스, 10번째 스페셜 스토어[가보니]
  • 청년 연간 최대 200만 원 세금 감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십분청년백서]
  • 美 대선 TV토론에도 심심한 비트코인, 횡보세 지속 [Bit코인]
  • "무시해" 따돌림까지 폭로한 뉴진스 라이브 영상, 3시간 만 삭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9.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076,000
    • +2.21%
    • 이더리움
    • 3,175,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453,500
    • +3.68%
    • 리플
    • 724
    • +0.56%
    • 솔라나
    • 181,400
    • +1.62%
    • 에이다
    • 478
    • +4.37%
    • 이오스
    • 667
    • +2.46%
    • 트론
    • 208
    • +0.97%
    • 스텔라루멘
    • 125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650
    • -1.72%
    • 체인링크
    • 14,200
    • +0.57%
    • 샌드박스
    • 347
    • +3.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