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세한 내용은 고품격 시니어 전문 미디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www.bravo-mylife.co.kr) 사이트와 모바일웹(m.bravo-mylife.co.kr)에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사회에서 노인은 과연 누구인가?
‘퇴적공간’의 저자인 오근재는 현대 사회에서 ‘노화’란 단순히 생물학적인 의미로 유기체 기능의 퇴행과 감퇴만을 말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건강한 신체와 지적 능력을 지닌 사람이라 해도 노동 시장에서 퇴출되면 사회적인 쓸모를 인정받기 어렵고,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상품 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인된 직업으로 일정 수준의 소득을 벌어들이지 않는 이상, 나이든 자는 개인의 선택이 아닌 사회적인 잣대로 ‘노인’으로 분류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는 그는 노화는 한 개인이 노동 시장으로부터 밀려나는 거리에 비례한다고 말한다.
대학 교수로 20년간 근무한 저자는 교수라는 직함에 물러나면서 사회적 기준의 ‘노인’이 됐다고 고백한다. 탑골공원과 종묘시민공원, 인천자유공원, 종로3가, 낙원동 뒷골목 등 노인들이 운집한 공간을 누비며 노인들의 삶을 깊이 들여다본다. 저자가 말하는 ‘퇴적 공간’이다. ‘퇴적 공간’은 도시의 인위성에 밀려나고 속도에 적응하지 못한 인간들이 강의 상류로부터 떠밀려 내려 하류에 쌓인 모래섬처럼 몰려드는 모습을 지칭해 만든 단어다.
‘퇴적 공간’에서 만난 노인들에게 저자는 동질감과 연민을 동시에 느낀다. 가족과 어울리지 못하고 경제적으로도 넉넉지 않은 노인들이 주를 이루는 이 공간이 노인들 또는 제3자에게 어떻게 다가가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저자는 우리가 노인의 소외 문제를 모른 척할 경우 늙음과 죽음, 나아가 인간이 자연의 산물이라는 본원적인 사유를 받아들이는 감각 자체를 상실하게 될 것이라 경고한다. 교수출신답게 인문·철학·예술·역사 등 다채로운 관점으로 한국의 노인복지 실태도 고발한다. 일과 가정에서 추방당해 ‘퇴적공간’으로 밀려난 노인들. 그들에게 ‘배려’라는 이름의 ‘배제’를 거두라고 저자는 목소리를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