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이 자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질의 일자리와 함께 꾸준한 일터를 보장받을 수 있는 사회적 제도·장치가 필요하다.
서울시는 지난달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을 내놓았다. 43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자리는 시간제 근로 형태다. 정규직은 일부 업종에만 제한돼 있다.
이 같은 우려에 서울시는 장애인 대부분은 계약직이 아니고, 주간근무나 일정 시간에만 일하는 시간제 일자리 형태로 일하게 된다며 양질이라는 점을 애써 강조했다.
어디 그럴까. 공공 일자리 경우, 행정도우미나 주민센터 사무보조 등이 장애인들을 위한 일자리다. 또 복지 일자리에서는 식사도우미 등이 해당된다. 누가 봐도 양질은 아니다.
파트타임으로 일하다 보니 자연스레 일자리 지속성에 대한 의심이 든다. 정규직 형태(계약직)의 근로계약 체결보다는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입장에선 아르바이트 개념으로 장애인을 고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각 기관에서는 ‘잘하면 계속 쓰고 아니면 말고’라는 식의 일자리 개념이 자리 잡힐 수 있는 걱정이 앞선다.
즉 내실 있는 장애인 일자리 창출보다는 숫자와 같은 실적에만 치중한 모습이다.
반면 지난해 7명이 일자리를 얻는 데 성공한 호텔리어 사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서울의 한 호텔에 정규직으로 취업을 했으며 연봉제를 적용받고 있다. 때문에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 생기고 일도 열심히 하게 돼 장애인 본인이나 호텔 측에서도 서로 ‘윈윈’ 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이 호텔에는 장애인 호텔리어가 20명에 육박한다.
시는 이를 모델 삼아 더 많은 사업체와 연계한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지속에 힘써야 한다. 이번에 내놓은 서울시 일자리 정책은 ‘장애인이니까’라는 편견이 깔린 듯해 아쉽기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