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카운티의 비블리오테크 도서관(Biblio Tech)에는 책이 없다. 대신 100대의 전자책 리더기가 설치돼 있다. 대출 방법은 간단하다. 도서관에 비치된 리더기를 대여하거나 자신의 리더기에 전자책을 담으면 된다.
전자책으로만 채워진, 종이책이 없는 도서관.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언젠가는 국내에서도 전자책 도서관이 개관할지 모를 일이다. 이지연 연세대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 도서관의 전자책 소장권수는 2010년 155만권에서 2012년 306만권까지 늘었다. 해마다 50% 증가해 평균 70만 권씩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전자자료 구입비를 책정하는 도서관도 매년 약 15%씩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장음수 민음사 대표는 “국회전자도서관의 전자자료 중 대부분이 학위논문 및 각종 전자저널에 해당하며, 일반도서는 5.4%에 지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늘어나는 전자책 예산 중 일반도서 전자책 구입 비중이 크지 않다는 뜻이다.
전자책 출판계가 지적하는 가장 큰 문제는 도서관 전자책 가격 모델이 합리적으로 구축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대체로 각 도서관은 하나의 콘텐츠 당 계약 조건에 따른 개수의 카피를 구입, 카피 수만큼 이용자가 동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도서관이 전자책 업체에 지불하는 금액은 보통 전자책 한 권 당 계약한 카피 수에 따라 책정된다. 이는 종이책 대출 서비스와 유사하다.
이런 움직임은 전 세계적인 추세다. 대부분 국가가 시행하는 전자책 대출 서비스는 종이책 기반의 대출 서비스를 따른다. ‘한 권의 사본, 한 번의 이용(One copy, One use)’이다. 앞서 소개한 비블리오테크 도서관 역시 한 권의 디지털 장서당 똑같은 가격의 카피를 구입하는 방식으로 도서 보유 장수를 늘렸다. 국내 도서관의 대출 서비스는 대표 도서관과 회원 통합제로 시행된다. 대표도서관이 구입한 전자책 카피를 소속 도서관이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대표도서관은 소속 도서관의 이용자 수를 고려해 전자책 유통사와 카피 수를 계약한다. 산하 도서관이 많을수록, 인기 도서일수록 많은 수의 전자책 카피를 계약하는 방식이다.
전자책 업계는 이에 반발한다. 안병현 교보문고 디지털사업단장은 “도서관별로 전자책 구입 예산을 절감하기 위해 최소 수량의 전자책을 여러 공공도서관이 공동으로 이용한다”며 전자출판 활성화에는 악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도서 판매 수는 감소하고 이용자 수만 증가한다는 것이다.
전자책 업계는 회원통합제를 폐지하고 개별 도서관이 직접 전자책 콘텐츠를 구입하라고 주장한다. 회원통합제 폐지가 불가능하다면, 이용 건수당 과금하는 모델을 제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도서관 측은 애초에 회원통합제가 도서관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만들어진만큼 폐지할 수는 없다고 일축한다. 또한 이용자 수가 많은 도서에 대해서는 카피 수를 늘리니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도서관의 전자책 구입과 관련해 정부가 정해놓은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은 없는 상황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출판인쇄산업과 전자출판담당 김유미 사무관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 문제가 거론돼 표준계약서를 만드는 중이다. 일부는 제도화 쪽으로 검토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제외하고 초안이 나온 상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그는“저작권 권리 설정, 전자책 사업자B2B 관련 계약서 등에 포함될 사항은 구체적인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라, 유관기관과 지속적으로 테이블 협의를 가질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