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임금 없는 성장’이 세계적으로 심각한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실질 노동생산성은 가장 빠르게 증가한 반면 실질 임금 증가속도는 가장 느린 편에 속해 양자의 격차가 비교대상국 중 가장 크게 벌어졌다는 지적이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 27일 발표한 ‘임금 없는 성장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 임금과 실질 노동생산성은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기 시작했다.
명목 임금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조정한 한국의 실질 임금(사회보장기여금 포함)은 2007년~2012년 사이에 2.3% 줄었고 1997년∼2002년과 2002년∼2007년에는 실질 임금이 각각 19.4%, 17.6% 증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8개 국가를 보면 2012년(또는 2011년) 실질 임금이 2007년과 비교해 한국보다 더 많이 하락한 나라는 11개 국가였다.
그러나 재정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국가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세계 40위권 밖인 나라 등 10개국을 빼고 비교하면 실질 임금 하락 폭이 한국보다 더 큰 국가는 18개국 중 영국, 일본, 이스라엘 등 3개국뿐이었다.
이에 비해 실질 GDP를 근로자 수로 나눈 한국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2007∼2012년 9.8% 늘었다. 이 기간 한국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비교 대상 18개국 중 가장 빠르게 상승했다.
박 연구위원은 “한국은 비교 대상 주요국 가운데 노동생산성은 가장 빠르게 늘고 임금 증가 속도는 최하위권에 속해 두 지표의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며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은 국가를 빼면 우리나라의 임금 없는 성장이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