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금융 역할 재정립과 상업투자은행(CIB) 발전을 두고 논란이 일었던 ‘통합산은’이 이견 조율을 마무리 하고 본격적인 합병 절차에 돌입한다.
우선 금융위는 다음주 중 정찬우 부위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합병위원회를 설립키로 했다. 합병대상 3개 기관이 추천하는 3인을 포함해 7인 이내로 구성된다. 아울러 통합 실무작업 및 합병위원회 지원을 위해 산은과 산은지주, 정금공에도 각각 통합추진단도 설치된다.
위원회 및 추진단 구성이 완료되면 금융위는 오는 11월 초까지 실사를 마치고 합병계약서를 작성할 예정이다. 정책금융환경 변화에 부응한 통합산은의 비전 및 업무방향과 통합 이후 조직 운영방안도 동시에 진행된다.
특히 11월까지 정금공의 대외 정책금융업무를 수은으로 이관할 계획이다. 다만 구체적인 이관 범위 및 시기는 합병위원회가 수은과 협의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산은 민영화 계획을 중단부터 산은법 개정안 국회 통과까지 힘겹게 8부 능선을 넘었지만 통합산은이 출범되기까지는 여전히 갈길이 멀다.
가장 큰 걸림돌은 산은 성적표다. 산은은 STX 대기업 구조조정 여파에 지난해 1조4400억원의 적자를 냈다. 13년만이다.
이런 상황에서 통합산은이 출범하면 정금공 부채까지 더해져 매년 5000억~6000억원에 달하는 이자비용이 발생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낮아지는 등 재무구조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금융위는 두 기관이 통합되더라도 산은의 BIS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한다.
김용범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통합 시 산은의 BIS비율 축소는 0.5%포인트 내외가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며 “올해도 대기업 구조조정이 남아있어 산은의 산은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꾸준히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기택 산은지주 회장 역시 가튼 생각이다. 홍 회장은 올초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간 정책금융공사의 이자부담이 6000억원인데 이 부담을 자회사인 산은지주의 배당금으로 해결하고 있다”며 “통합해도 실제 달라질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부터 국제회계기준(IFRS)으로 산정돼 달라진다”며 “IFRS로 하면 정책금융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중 일부가 자본으로 인정될 수 있어 산은보다 오히려 BIS비율이 더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통합 과정에서의 인력 구조조정도 논란이 되고 있다. 흡수통합 당사자인 정금공 직원들의 불안이 가장 크다.
우선 금융위는 합병위원회 및 통합추진단에 산은지주·산은과 정금공을 동일한 규모로 포함하고 각 기관의 의견을 공정히 수렴키로 했다. 특히 합병위원회 개최시 정금공 직원들의 애로·건의사항은 별도 안건에 반드시 포함시키기로 했다. 임직원간 대화, 워크숍 등 화학적 결합에도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김 국장은 “정금공 출범때 직원이 100여명이었는데 그 후 뽑은 직원들이 대부분 30대이기 때문에 합병 과정에서 직급간 충돌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지금까지 남아있는 인원들의 결합은 위원회가 충분히 잘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산은은 KDB캐피탈·KDB생명·KDB자산운용 등 3개 회사는 연내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KDB대우증권은 투자은행(IB)업무 담당을 위해 당분간 자회사로 거느리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매각을 진행중인 KDB생명에 선뜻 인수 의사를 나타내는 곳이 없어 예비입찰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김 국장은 “현재 KDB생명 매각 준비 작업을 진행 중이며 원칙대로 진행할 계획”이라며 “대우증권의 경우 언제까지 가지고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산은이 IB금융이나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는데 그것을 매각했을 경우 산은이 이제까지 대우증권 협업해 온 것을 자체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며 “통합작업을 먼저 진행한 후 자회사 매각 부분을 구체화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