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분업화로 세대간 일자리 갈등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승환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은 8일 열린 ‘일자리 세대갈등, 대안은 없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국민대통합 심포지엄에서 세대간 일자리 갈등 문제는 세대간 일자리 분업화로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우리나라 직업 중 상당수가 세대별 분업화가 제대로 되지 못해 경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젊은층은 열정과 에너지를 쏟을 수 있고 자신의 미래 비전을 키울 수 있는 직업을 찾고,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는 중·고령층은 자신의 경험과 경륜을 살리는 세대간 직업 분업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의 직업 수는 약 3만개, 일본은 2만개로 1만개인 우리나라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며 ”제2의 바리스타, 푸드스타일리스트 같은 새로운 직업들이 계속 늘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세대간 일자리 갈등에 대한 열띤 논의가 이뤄졌다.
연세대 이지만 교수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정부가 정년연장을 통해 복지 재정 부담을 기업의 고용부담으로 이전했다”며 “따라서 정부가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노사간의 사회적 합의 도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아주대 이승길 교수는 “임금피크제나 생산성 연동 임금체계 등 임금 유연화는 정년 연장 연착륙에 필수적”이라며 “고용시스템도 유연화해 지속가능한 고용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청년층의 이철훈 대표는 “임금체계 개선과 함께 일부 노조가 임금피크제는 반대하고 정년연장만 환영하는 등 기득권에 연연해 청년 실업을 도외시 한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반면, 청년 노동계를 대변하는 청년유니온 김민수 위원장은 “세대간 일자리 갈등을 논하기에 앞서 기업이 사회적 책임 차원으로 일자리 창출을 해야 한다”며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고용을 창출해 달라”고 주문했다.
또, 노년유니온 김선태 위원장은 “과거 보릿고개를 겪은 세대가 퇴직 후 연금 수급 전까지 겪는 ‘시니어 보릿고개’를 다시 겪는 현실에 직면했다”면서 다양한 시간 선택제 일자리 보급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편, 노동연구원 안주엽 선임연구원은 장년층 고용이 청년층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세대 갈등론’에 대해 객관적으로 입증된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