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봉 보험개발원장은 민간보험에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과 같은 기관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현재 보험가입자가 보험사에 보험금 청구를 위해 의료비 관련 서류 내는 복잡한 절차를 관련 기관을 통해 간소화하자는 것이다. 김 원장은 이를 통한 통계 집적을 통해 의료비 비급여 부분의 기준도 마련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 원장은 9일 기자들과 만나 “병원이 몇 만개나 되는 현실에서 병원마다 실손의료비 청구를 위한 보험사를 연결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이를 통합 할 수 있는 센터와 같은 곳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원장는 “통합관리센터가 구축되면 소비자는 병원에 보험사 실손의료보험 가입 여부만 전달하면 된다”고 설명하고“병원은 병원비 내역을 보험사에 전달하고 보험사는 받은 서류를 가지고 적정성 여부를 심사 후 보험금을 지급하는 구조로 변경하면 편리하다”고 말했다.
현재는 한 사람이 A·B·C보험사 실손보험에 각각 가입했을 경우 보험금 청구를 위해 진단내역 등 병원 서류를 각사에 따로 제출해야 했고, 서류가 미비할 경우 다시 작성해야 하는 등 절차가 번거롭다.
김 원장은 “예컨대 5000개의 병원이 있고 30개의 보험사가 있다면 15만개의 회선이 필요하지만, 통합관리센터가 있으면 그럴 필요가 없다”며“이런 일을 하려면 정보기술(IT) 관련 논의는 물론, 병원 및 국민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 일의 최대 수혜자는 보험에 가입한 국민”이라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통합관리센터가 구축될 경우 보험사들이 요율 관련 자료를 추가적으로 보험개발원에 줄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국민의 편익은 물론 병의원, 보험사 모두의 편익을 증진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 원장은 삼자지불제도가 선행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험사의 지급보증을 통해 병원비를 지불하는 내용이다.
한편 김 원장은 신용정보통합기관 정보 집적과 관련 보험산업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일원화 취지는 보안이 아니라 활용이 목적”이라며“필요충분조건이 보안인데, 본말이 전도되면 안된다. 보안 문제는 보안으로 풀어야지, 다른 방법으로 풀면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