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파킹’ 의혹 맥쿼리자산운용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

입력 2014-07-17 14: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리스크 관리 전문가 칼 자콥슨 대표와 최홍 대표 듀얼체제로

‘채권 파킹’ 거래 혐의를 받고 있는 맥쿼리자산운용(옛 ING자산운용)이 최근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맥쿼리자산운용은 지난 6월 24일 맥쿼리 출신의 칼 자콥슨 리스크담당 전무를 신임 각자 대표로 선임했다.

이에 따라 자콥슨 대표는 리스크와 컴플라이언스, 오퍼레이션 등 업무를 담당하고 ING운용 시절부터 경영을 맡아온 최홍 대표는 운용, 마케팅 관련 업무 등을 담당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자콥슨 대표는 1977년생으로 30대 운용사 CEO 이기도 해 눈길을 모은다.

업계 내부적으로는 맥쿼리자산운용이 공동 대표 체제를 선택한 것은 파킹거래 의혹에 따른 여파라고 내다보고 있다.

채권 파킹거래는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가 매수한 채권을 장부에 바로 올리지 않고 중개인(증권사)에게 잠시 맡긴 뒤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결제하는 행위를 말한다. 금리 변동에 따라 추가 수익 및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변칙거래로 분류된다.

금융감독원은 맥쿼리운용이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증권사들에 채권 파킹을 요구한 것으로 파악하고 연초부터 현장검사를 벌여왔다. 이에 금감원은 당초 지난 26일 맥쿼리운용에 대한 제재 안건을 제재심의위원회에 상정하려 했지만 KB금융 사태 등 심의가 오래 걸리는 안건들이 대거 몰려 추후 회의에서 논의하기로 한 것.

17일 열리는 제재심의위원회에도 맥쿼리자산운용에 대한 제재 안건은 주요 사안들에 밀려 처리가 힘들어질 전망이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금감원이 맥쿼리운용에 대해 강도 높은 제제가 예고 된 만큼 호주 맥쿼리 본사에서도 이를 컨트롤 할 전문가를 CEO로 투입한 것으로 안다”며 “자콥슨 대표는 리스크관리 전문가로서 향후 맥쿼리자산운용의 신뢰 회복과 체계적인 시스템 정비에 만전을 기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한편, 그동안 맥쿼리자산운용 초대 CEO를 지낸 최홍 대표는 지난 2002년 랜드마크투신 시절부터 CEO를 지냈다. 이후 랜드마크가 ING운용에서 지난해 맥쿼리로 대주주로 바뀌면서 12년간 단독체제로 CEO를 역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동훈 “尹 탄핵,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대통령 탈당 다시 요구”
  • "이날부로, 한국의 모든 세대가 계엄령을 겪었다" [이슈크래커]
  • 오늘부터 철도노조 총파업…시민들 불편 예상
  • '비상계엄 선포' 尹대통령 탄핵 찬성 73.6%...내란죄 해당 69.5%[리얼미터]
  • 尹, '계엄 건의' 김용현 국방장관 사의 수용…석 달 만에 퇴진[종합]
  • 비트코인 10만 달러 '성큼'…SEC 수장에 폴 앳킨스 임명 [Bit코인]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파월 자신감에 시장 환호…다우, 사상 첫 4만5000선
  • 국방차관 "국회 군 투입, 국방장관 지시…계엄 동의 안해”
  • 오늘의 상승종목

  • 12.05 11: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110,000
    • +4.67%
    • 이더리움
    • 5,402,000
    • +4.97%
    • 비트코인 캐시
    • 869,000
    • +8.9%
    • 리플
    • 3,269
    • -7.92%
    • 솔라나
    • 327,600
    • -1.97%
    • 에이다
    • 1,632
    • -3.09%
    • 이오스
    • 1,861
    • -7.78%
    • 트론
    • 469
    • -11.34%
    • 스텔라루멘
    • 687
    • -3.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118,800
    • +11.24%
    • 체인링크
    • 33,430
    • -0.65%
    • 샌드박스
    • 1,251
    • +15.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