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심차게 출발했던 소득공제 장기펀드(소장펀드)가 다소 초라한 지난 6개월간의 성적표를 공개했다.
2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소장펀드 60개의 설정액 합계가 총 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출시 당시에 연간 4조원가량의 자금이 소장 펀드로 유입될 것이란 업계의 전망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재테크와 세테크를 동시에'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출격한 소장펀드는 당초 젊은 직장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됐다. 연말정산 때 납입액의 40%(최대 24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다 최대 39만6000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의 반응은 그리 뜨겁지 않았다. 출시 첫 달인 3월 133억원이 순유입된 데 이어 4월 314억원, 5월 223억원, 6월 235억원이 들어온 것. 최근엔 아예 두자릿수로 줄어 7월에는 81억원, 이달(1~21일)에는 57억원이 들어오는 데 그치고 있다.
이같은 부진에 대해 업계에서는 가입 규정이 지나치게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소장펀드의 가입자격은 연간 총급여액이 5000만원 이하인 근로소득자로 한정돼 있는데, 이처럼 소득이 낮은 층은 가입 여력이 없다는 게 금융투자업계의 지적이다.
박종수 금융투자협회장은 최근 "연소득 5000만원 이하로 가입 규정을 두다 보니 펀드 판매율이 당초 기대보다 낮다"며 "연소득 8000만원 이하 근로자들까지는 가입을 허용해줘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5년간 가입을 유지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도 가입자들이 투자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다.
자산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가입할 수 있는 고객들이 한정돼 있다는 점과 까다로운 가입 절차 등으로 인해 고객들의 발길이 소장펀드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며 "다만 소장펀드의 경우 특성상 연말을 기점으로 수요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햇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