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등학생 가운데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절반 정도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교육부와 함께 전국 초·중·고 200개교 학생 11만6000명과 교사 3130명 등 모두 11만9천1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53.5%가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26.1%였으며, 통일이 불필요하다는 응답도 5명에 1명꼴인 19.7%에 달했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답변은 초등학교(71%)에서 가장 많이 나왔고 중학교(54.3%), 고등학교(47.8%) 등 학년이 올라갈수록 적어졌다.
통일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런 인식은 그동안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됐던 조사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지난해 말 실시한 조사 결과에서는 '통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71.6%에 달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는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의식 수준을 높여나가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는 ▲ 전쟁위협 등 불안감 탈피(25.8%) ▲ 국력 강화(24.7%) ▲ 한민족(18.9%) 등을 꼽았고, 통일이 필요 없다고 답한 이유는 ▲ 경제적 부담·사회혼란(45.4%) ▲ 북한체제 거부감(33.7%) ▲ 이질감(7.7%) 등의 순으로 대답했다.
학생들은 북한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서는 협력 대상(48.8%)이라고 답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적대시 대상이라는 응답은 26.3%였고, 지원 대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14.5%로 각각 나타났다.
북한 주민에 대한 인식은 지원 대상(39.7%)과 협력 대상(33%)이라는 응답에 비해 적대시 대상(11.8%)이라는 응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 학생들 중 절반이 넘는 58.7%는 '북한이 전쟁을 다시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고, 통일의 장애 요인으로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38.4%)을 가장 많이 꼽았다.
통일 이후 사회변화에 대해서는 좋아질 것(45.7%)이라는 응답이 어려워질 것(34.1%), 지금과 비슷할 것(18.3%)이라는 응답보다 높았으며, 통일 전망 시기에 대해서는 20년 이후(31.0%), 10∼20년(29.8%) 등으로 답했고 불가능하다는 응답도 17.9%에 달했다.
한편 교사들은 학교의 통일교육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57.9%가 '잘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보통이다'(30.5%),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11.3%) 등의 순이었다.
통일교육 수업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81.6%가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연간 교육시간은 교과(2시간 이내 29.7%, 3∼5시간 37.5%)와 창의적 체험활동(2시간 이내 42%, 3∼5시간 31.1%) 시간을 할애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6월 23일부터 7월 11일까지 조사전문 업체가 학교현장을 직접 방문해 실시한 이번 조사는 정부 차원의 첫 통일교육 실태 조사로,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학생은 ±0.28%, 교사는 ±1.75%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