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문화원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인 입춘(2월 4일)을 맞아 지난 1일 태백시청 현관에서 태백시민에게 입춘첩(立春帖) 써주기 행사를 진행했다고 5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태백문화원 서예반 강사인 권중모(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 서예가와 회원들의 재능기부로 진행됐다. 액운을 막고 한해의 복을 바라는 마음을 담아 시민 170명에게 입춘첩을 전달했다.
4일은 절기상 봄이 시작되는 입춘이다. 입춘에 들면서 자주 쓰이는 '입춘대길 건양다경'의 뜻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적으로 입춘이 되면 집안 곳곳에 입춘 축(춘첩자)을 써 붙인다. 과거에는 집안 어른들이 춘첩자를 직접 써서 붙였으나, 오늘날에는 얻어 오는 경우도 많다. 이를 입춘 날 대문이나 들보, 기둥, 천장 등에 붙인다. 이곳에 붙이면 효험
절기상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인 오늘(4일),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첩 문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은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길 기원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오는데 입춘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기복적인 행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
인천공항 폭발물 용의자 긴급체포…30대 무직 한국인
‘PD수첩’ 싸이 측 “기간 지났으니 나가” vs. 세입자 “재건축 안하면 나갈 이유 없어”
경기도서 지카 바이러스 의심환자 3명 발생… 남미 여행 뒤 발열·근육통
딸 5시간 때려 숨지게 한 부천 여중생 아버지 체포… 시신 방치 이유는?
[카드뉴스] 오늘 입춘 ‘입춘대길
三羊多慶
춘축(春祝)의 문구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입춘대길’의 짝은 건양다경(建陽多慶)이다. 햇볕이 밝고 따스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많을 것이라는 축원이다.
고대 동양의 세계관에서 양(陽)은 천(天)·동(動)·외(外)·남(男)·부(父)·부(夫)를 상징한다. 음(陰)은 지(地)·정(靜)·내(內)·여(女)·모(母)·부(婦)를 상징한다. 천지간의 모든
24절기 중 첫 번째인 입춘은 양력 2월 4일경이다. 올해는 바로 그날이다. 음력으로는 12월 16일이니 계동(季冬)의 기망(旣望:열엿새)이다. 동양에서는 이날 봄이 시작된다고 생각해 ‘봄이 선다’는 뜻으로 입춘(立春)이라고 불러왔다. 입춘, 입동을 자칫 入(입)으로 쓰기 쉬운데, 뜻을 알면 틀리지 않을 것이다.
입춘엔 입춘첩(立春帖), 입춘축(立春祝)
입춘(立春)을 이틀 앞둔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국립민속박물관 내 전통가옥 오촌댁에서 청암 최동석(왼쪽에서 두번째), 평원 오예남(왼쪽에서 세번째) 서예가와 직원들이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 입춘첩을 붙이고 있다. 입춘첩은 봄의 희망을 담아 한 해 동안 길한 운과 경사스러움이 가득하기를 기원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으로 대
입춘(立春)을 이틀 앞둔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국립민속박물관 내 전통가옥 오촌댁에서 청암 최동석(왼쪽에서 두번째), 평원 오예남(왼쪽에서 세번째) 서예가와 직원들이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 입춘첩을 붙이고 있다. 입춘첩은 봄의 희망을 담아 한 해 동안 길한 운과 경사스러움이 가득하기를 기원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으로 대
입춘(立春)을 이틀 앞둔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국립민속박물관 내 전통가옥 오촌댁에서 청암 최동석(왼쪽에서 두번째), 평원 오예남(왼쪽에서 세번째) 서예가와 직원들이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 입춘첩을 붙이고 있다. 입춘첩은 봄의 희망을 담아 한 해 동안 길한 운과 경사스러움이 가득하기를 기원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으로 대
전국 대부분 한파특보, 입춘대길ㆍ건양다경
4일 전국 대부분에 한파 특보가 내려지면서 절기상 입춘이 무색해지고 있다.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서울이 영하 10도 등 전국이 영하 15도에서 영하 3도로 전날보다 5도 가량 낮았다. 칼바람까지 더해져 아침 서울 체감온도는 영하 16도까지 내려갔으며, 강원 산간에는 한파경보가 내려졌다.
낮 최고기온은 서울 영하
입춘대길, 건양다경
절기상 봄으로 접어든다는 입춘을 맞아 조상들이 대문에 붙였던 '입춘대길' '건양다경'의 뜻이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입춘대길(立春大吉)'은 봄을 맞아 길운을 기원하는 글귀이며, 좋은 일과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라고 기원하는 '건양다경(建陽多慶)'과 짝을 이뤄 쓰인다.
우리 조상들은 과거, 입춘이면 대문에 입춘대길, 건양다경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