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중상환청구권부 채권(이하 커버드본드)을 한국은행의 대출 및 차액결제이행용 담보증권에 포함하기로 의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시행일은 오는 9월 2일이다.
한은 대출에는 금융중개지원대출, 일중당좌대출 및 자금조정대출이 해당한다. 차액결제이행용이란 한은은 소액결제시스템에 참가한 은행이 익영업일 차액결제를 이행하지 못 할 경우 사전에
기획재정부는 중국에 원ㆍ위안 직거래시장이 개설돼 오는 27일부터 상하이 중국외환거래센터(CFETS)에서 첫 거래가 시작된다고 24일 밝혔다.
원-위안 현물환과 선물환 외환(FX)스와프 등이 거래될 예정이며 일중변동폭은 ±5.0%로 정해졌다. 거래시간은 베이징 시간 기준 오전 9시30분에서 오후 11시30분(한국시간 오전 10시30분∼0시 30분)까지다.
카카오페이(Pay)로 대표되는 IT기반 전자지급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이들 업체에 대한 지급결제시스템의 규제정비와 감시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 윤태길 급여후생팀 차장과 김용구 결제정책팀 과장이 22일 발표한 ‘신종 전자지급서비스에 대한 리스크 점검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폰 이용 확산과 IT기술 발전에 기반해 신종 전자지급
한국은행이 한은금융망(거액결제시스템)의 운영시간을 한 시간 연장할 방침이다.
한은은 12일 '중장기 지급결제업무 추진전략' 자료를 통해 현재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인 거액결제시스템 운영시간을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 30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중장기 지급결제업무 추진 전략의 3대 목표를 △지급결제인프라 확충 △지
국내 증권사들이 저유동성, 저신용등급 채권 보유 비율을 늘려 덩달아 유동성 리스크에도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결제리스크팀이 23일 발간한 '파생결합증권(ELS, DLS) 발행·헤지운용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3월 현재 20개 증권사가 보유한 전체 채권 중에서 AA등급 및 A등급 이하 채권 비중은 2010년
우리나라가 2004년 말 외환동시결제(CLS·Continuous Linked Settlement) 시스템을 도입한 지 10년 만에 참여 금융기관 수가 약 10배, 거래 규모는 14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CLS 시스템에 참여하는 국내 금융기관은 도입 초기 4개은행(외환·국민·HSBC·BoA)에서 작년 말 38개 은행(국내 18
한국거래소와 한국증권금융은 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자본시장의 결제 원활화 및 안정성 강화를 위해 상호 협력관계 구축에 대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비상 시 결제유동성 확보를 위한 청산결제자금 대출 △Repo시장 결제 조기화 및 결제유동성 공급 △국채시장 증권결제 원활화를 위한 증권대차 △결제회원의 결제자금 확보 지원
국내 기관간 환매조건부채권(RP)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때문에 중앙거래당사자(CCP) 창산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6일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곽창용 과장 등이 발표한 'RP시장 결제리스크와 CCP 청산효과 분석'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관간 RP거래 규모는 지난해 12월 25조2000억원(일평균 거래잔
한국예탁결제원(KSD)은 28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신증권결제시스템 개통 1주년’ 및 ‘증권결제제도의 이론과 실무’ 발간 기념식을 개최했다.
예탁원이 운용하는 신증권결제시스템은 증권시장의 만성적인 결제지연 문제를 해소하고 결제제도의 국제적인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난 2009년 11월 금융위원회의 주관 하에 한국거래소,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마
한국거래소가 결제유동성 확충에 나선다. 글로벌 금융 시장 불안으로 증권사 등이 결제 불능 사태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증권금융으로부터 1조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13일 이사회를 열고 결제 유동성 확충 방안을 승인했다.
거래소는 증권사 등이 일시적으로 재정 위기에 빠져 주식이나 파생 결제 업무에 이상이 생
주식시장은 3시에 마감된다. 그러나 결제는 평균 5시40분에야 끝났다. 국채결제 역시 평균 4시55분에 완료됐다. 심지어 지난 1년간 4시 이전에 끝난 적은 단 하루도 없다. 만성적 지연이다. 미국·영국·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2000년대 들어 증권결제시스템 전반을 개선했지만 우리나라는 1970년대에 도입된 시스템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곧
유병갑 한국은행 금융결제국장은 12일 “지급결제시스템에 대한 한은의 감시체계를 강화된 신국제기준에 맞춰 재편한다”고 말했다.
유 국장은 이날 13일 열리는 ‘FMI, 글로벌 환경변화와 우리의 과제’ 컨퍼런스에 앞서 배포된 ‘지급결제제도 안정을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이란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유 국장은 “신국제기준이 현재안대로 확정되는 경우 재해복구
한국은행은 금리정상화를 꾸준히 추진하는 등 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농협 전산장애를 계기로 지급결제시스템의 안정성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20일 한은은 기획재정위원회 임시회를 앞두고 국회에 제출한 '최근 경제상황과 정책과제'라는 보고서에서 "그간 국내외 경제의 높은 불확실성에도 물가상승 압력에대응해 기준금리를 꾸준히 올렸다"며 "물가
정부와 금융당국이 증권시장 결제제도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미결제 증권을 익일로 이연해 차감 결제하는 주식 결제 방식 가운데 하나인 이연결제제도(CNS: Continuous Net Settlement)를 도입한다.
또 국채 등 채권 결제에 대한 일중 유동성 지원을 위해 건당 거래금액 및 결제금액이 큰 장내국채 및 장외국채의 결제시 한국은행이 시중 증
SK C&C는 한국은행의 ‘차세대 한은망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총액결제방식과 상계결제방식의 장점을 취한 혼합형 결제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자금의 조기결제를 유도하고 은행을 포함한 결제 참여 기관의 유동성 절약과 자금 이체 업무의 안전성 증진을 위해 추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K C&C는 금융기관 양자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