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구로구에 거주하는 30대 투자자 A씨는 지난해 한 코스닥 상장사가 이차전지 관련 단일판매 공급계약을 체결했다는 공시를 보고 주식을 대량 매수했다. 구체적인 계약 금액과 계약 상대방은 계약상 비공개였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공시가 나온 날 전후 10거래일 동안 무려 78% 이상 급등했다. 그러나 해당 상장사는 계약 체결 1년 만에 이행률 0%로 계
올해 들어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건수 78건…전년 대비 26건 증가주식 양수도 계약·유상증자 철회 등 공시 번복이 대부분벌점 쌓여 상장적격성 심사 대상 되기도
코스닥 상장사의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건수가 전년 대비 늘어나 투자자 주의가 요구된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전날까지 코스닥 시장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건수는 78건으로 전년 동기
지정·지정예고 96건…1년새 6건 ↑코스피 상장사 줄고, 코스닥 늘어
올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 건수가 지난해 대비 늘어나면서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4월 30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에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지정예고된 건수는 9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0건 대비 소폭 증가했다.
코스피 상장사는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 기업들의 적극적인 공시 기조가 유지되면서 공시 건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문공시 건수가 크게 늘며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4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3년 유가증권시장 공시실적’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전체 공시 건수는 2만1529건으로, 전년 대
한화오션이 22일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이는 소송 등의 제기ㆍ신청(일정금액 이상의 청구)의 지연공시 때문이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22일 유가증권시장 공시 규정 제35조와 제38조의 2항에 따라 한화오션을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했다. 다만 벌점은 없었지만, 제재금 800만 원을 부과했다.
만약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돼 벌점이 누적되면
불성실공시 올해 90건…지난해보다 35%↑불성실공시 증가에…제재 강화 목소리 나와“불성실공시 의도 여부에 따라 다르게 대처해야 할 것”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이 급증하고 있어 투자자 주의가 요구된다.
24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채널에 따르면 올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거나 지정예고된 건수는 이날 기준 총 90건이다
2022년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적극적인 공시 기조로 공시 건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문공시 건수가 2021년보다 2배 이상 늘고, 제출 법인수가 20% 이상 증가해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 편의성 제고에 이바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5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2년 유가증권시장 공시실적’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전체
△비케이탑스, 소송 등의 판결·결정, 소송 등의 제기·신청(경영권 분쟁 소송) 미공시로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예고
△HJ중공업, 당진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 481억 원 규모 공사 수주
△월비스, 계열회사 THE WILLBES DOMINICANA INC. 76억 원 규모 채무보증 결정(채권자 한국수출입은행)
△핸즈코퍼레이션, 기아자동차와 1697억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에서 공시 건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 기업의 적극적이고 자율적인 공시 기조가 정착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영문공시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16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1년 유가증권시장 공시실적’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전체 공시 건수는 1만8945건으로, 전년 대비 16.0% 증가했다. 조회
트러스톤자산운용이 보유 중인 BYC주식의 투자목적을 일반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변경 공시했다. 향후 BYC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본격적인 주주활동에 나서겠다고 공개 선언한 셈이다.
이번 공시변경으로 트러스톤자산운용은 주주명부 및 이사회의사록, 회계장부 열람등사청구, 임시주총 소집청구, 이사해임요구, 주주제안권 행사는 물론 회사와 위법·부당행위에 관련된
한국거래소는 29일 센트럴인사이트에 대해 지난 2월4일 공시한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공시 내용 중 출자금액의 50% 이상의 변경공시를 3월9일에 내놓아 공시변경 사유에 해당한다며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했다.
공시위반 제재금은 800만 원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향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으로 벌점이 부과되고 해당 벌점 부과일로부터 과거 1년 이내
10일 국내 증시(코스피ㆍ코스닥)에선 상한가 5개, 하한가 1개를 기록했다.
이날 갤럭시아머니트리가 '지역 화폐' 기대감에 힘입어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역화폐의 중요성을 강조한 발언을 하면서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갤러시아머니트리는 정부의 간편결제 수단인 '제로페이'와 복합결제가 가능한 앱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제로페이
“영어 단어 중 가장 비싼 네 단어는 ‘이번엔 다르다(This time, it’s different)’” 낙관적인 전망에 도취해 있는 시장에 위험을 알리기 위해 존 템플턴 경이 쓴 문장이다. IMF 외환위기, 2000년대 초 닷컴 버블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에 그랬다.
증시 낙관론자들은 지금도 3000시대를 연 코스피에 ‘축배’를 들면서
지난 해 어느 때보다 높은 증시 변동성을 보여주면서 기업들의 공시 성향도 크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공시가 크게 늘었고 거래량이 크게 늘면서 이와 관련한 공시 역시 급등했다.
18일 한국거래소가 내놓은 ‘2020 유가증권시장 공시실적’ 분석 자료에 따르면 ESG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에 따라 기업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 업체 넥펀이 지난달까지 신용대출 상품을 담보대출로 허위 공시해 판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넥펀은 경찰 수사로 투자금을 반환하기 어렵게 됐다며 돌연 영업을 중단했다. 이 업체 대출잔액은 251억 원에 달한다.
13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P2P 업체 넥펀은 법인 중고자동차 매매 상사를 대상으로 최저 연 7%에서 최
지난해 코스닥 시장에서는 지난해 대비 3% 가량 많은 공시가 쏟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영 악화와 상장 폐지 위기에 놓인 기업의 영향으로 불성실공시는 전년 대비 17.8% 증가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닥 시장에서는 총 2만1495건의 공시가 게재됐다. 전년 대비 577건(2.8%) 증가한 값이다.
코스닥시장 IPO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