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개편한 국내총생산(GDP) 지표가 여과없이 세수전망에 반영되면서 사상최대의 세수결손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초 개편한 국내총생산(GDP) 지표인 국민계정기준(SNA)를 기존 1993년 기준에서 2008년 기준으로 개편한 바 있다. 2008 SNA는 국제연합(UN), 국제통화기금(IMF) 등 5개 국제기구가 합의한 것
“1970년을 기점으로 단절된 국민계정을 마침내 완성했다. 역사의 퍼즐을 맞추기 위해 고고학자가 유적을 발견하는 것과 같은 과정이었다.”
정영택 한국은행 경제정책국장은 15일 새로운 국제기준(유엔 2008 SNA) 및 기준년 변경(2005→2010년)을 적용한 1953~1999년 시계열의 국민계정을 발표한 후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한국경제의 핵심 지표인 국민계정의 개편작업이 1953년 시계열까지 완료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를 더 긴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됐다.
개편된 통계에서는 국내총생산(GDP), 경제성장률, 1인당 국민소득(GNI), 저축률, 투자율 등이 모두 구계열보다 소폭 상승했다. 또 외환위기 이후 기업소득 비중은 빠르게 늘어난 반면 가계소득은 내리
지난해 우리나라의 성장률이 3%대를 넘어섰다. 또 1인당 국민소득은 2만6000달러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26일 새로운 국제기준의 이행 등 제11차 국민계정 기준년을 2005년에서 2010년으로 개편한 결과를 반영한 ‘2013년 국민계정(잠정)’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한은은 새 국제기준 적용으로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개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7년째 2만 달러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지난해 국민소득이 2만6000달러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음에도 장기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되는 이유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만6205달러로 전년보다 1509달러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인당 GNI는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년 만에 3%대로 진입했다. 전년보다 경기 회복세가 더 뚜렸해졌고, 2년 연속 2%대를 기록하는 저성장 기조도 개선됐다. 하지만 성장률이 3%를 기록한 것은 GDP 통계 개편 효과가 상당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기존 3%대에 달하는 경기체감 효과를 느끼기는 힘들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26일 ‘2013년
지난해 우리나라의 성장률이 3%대를 넘어섰다. 이는 당초 예상을 웃도는 것이다. 또 1인당 국민소득은 2만6000달러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3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2.3%)보다 높아진 3.0% 성장을 기록했다. 설비투자가 부진했지만 민간소비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