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을 기점으로 단절된 국민계정을 마침내 완성했다. 역사의 퍼즐을 맞추기 위해 고고학자가 유적을 발견하는 것과 같은 과정이었다.”
정영택 한국은행 경제정책국장은 15일 새로운 국제기준(유엔 2008 SNA) 및 기준년 변경(2005→2010년)을 적용한 1953~1999년 시계열의 국민계정을 발표한 후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3월 2000~2013년 시계열의 국민계정 개편 결과를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에는 60년 국민계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마무리한 것이다.
국내총생산(GDP), 경제성장률, 국민총소득(GNI) 등 한국경제를 읽는 핵심지표인 국민계정은 1970년을 경계로 끊겨있었다. 1953~1969년 시계열의 국민계정은 1953년 국민계정체계(SNA)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후 건드리지 못한 것이다.
정 국장은 “과거 통계치 개편은 상당한 노력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그만큼 빛이 나는 작업은 아니다”며“그러나 학계와 연구자들의 요구가 있었고, 우리가 지금 하지 않으면 누구도 할 수 없다고 판단해 개편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직원들은 주말을 반납하고 야근을 밥 먹듯이 해 온전한 국민계정이 차질 없이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며 “이번에 발표된 국민계정은 단순한 아라비아 숫자가 아니라 직원들의 피땀이 담긴 살아있는 생명체다”라고 강조했다.
정 국장은 또 “국민계정 통계를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도록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실제로 이번 개편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스웨덴 등에 이어 세계 7번째로 장기간의 GDP 시계열을 보유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