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한국통계학회와 공동으로 ‘경제변화에 따른 예측과 설명 그리고 대응’이라는 주제로 13일에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포럼에서는 경제 및 금융 부문 분석에 활용되는 고빈도 시계열 데이터 연구 동향에 관한 초청 강연을 할 예정이다. 또한 전통적 시계열 모형의 예측력 강화방안과, 경제충격 분석 시 주로 사용되는 충격반응분석의 최신 이
통계청, 지역소득통계 2020년 기준년 개편 결과GRDP, 개편 전 대비 6.1%↑…최종소비지출 7.3%↑
통계청이 지역소득통계 기준년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개편했다. 경제성장률은 개편 전과 같은 -0.6% 수준을 유지했으며, 전국 지역내총생산(GRDP)은 6.1% 증가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지역소득통계 2020년 기준년 개편 결과'에
한은·통계청, 18일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발표국부 증가율 2.1% 집계…전년도 3.1% 대비 증가폭 축소“자산 가격 변동 따른 거래외 요인에 주로 영향”주택시가총액 추계방법 개선…주택시가총액 1.7% 증가
우리나라 국민순자산(국부)의 증가세가 둔화됐다. 부동산 자산 규모가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
◇기획재정부
15일(월)
△한국노동연구원-KDI, ‘인구구조 변화, 다가오는 AI 시대의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 토론회 개최
16일(화)
△경제부총리 10:00 국무회의(서울)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국제통화기금, 7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17일(수)
△경제부총리 14:20 소상공인·관광 관련 제주도 현장방문
12일 한국은행 창립 제74주년 기념사…“통화정책 전환, 균형 있는 판단 필요”“높은 수준 가계부채, 금융안정 걸림돌 되지 않도록 부단히 관리해야”“한은, 우리나라 최고 싱크탱크 돼야…구조개혁 과제 제언 역할 계속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 전환 시기에 대해 균형 있는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12일 소공동 별관에서 열린 창립
기획재정부는 한국은행의 국민계정 통계 기준년 변경(2015→2020년) 개편으로 2023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2236조 원에서 2401조 원으로 확대됨에 따라 국가채무비율도 50.4%에서 46.9%로 하락했다고 5일 밝혔다.
이날 한은은 2000~2023년 GDP 등 국민계정 통계를 기준년 변경(2015→2020년)을 반영해 개편하였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미달러화 기준)이 3만 달러를 돌파한 시점이 3년 앞당겨졌다.
한국은행은 13차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을 통해 기준년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했다고 5일 밝혔다. 한은은 기초자료의 작성 주기에 따라 5년마다 기준년 개편을 실시하고 있다.
개편결과 2020년 1인당 GNI(신계열, 미 달러화 기준)은 3만3929달러로
한은, 5일 ‘1분기 국민소득(잠정)’ 발표민간소비 0.1%·설비투자 1.2% 하향 조정…건설투자·수출 상향 수정한은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으로 과거 시계열 모두 조정"
1분기 경제성장률(GDP 증가율)이 1.3%를 기록했다. 앞서 발표된 1분기 속보치와 같다.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3.4% 증가했다.
한
14일 ‘생산자 및 수출입 물가의 2020년 기준년 개편결과’ 발표
한국은행은 생산자 및 수출입 물가지수 개편 작업을 실시했다고 14일 밝혔다.
한은은 생산자 및 수출입 물가는 최근 경제구조 변화를 반영하고 국민계정 등 주요 경제통계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매 5년마다 실시하고 있다. 이번 개편으로 지수기준년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했다.
“올 물가 전망보다 0.2%p 높아, 실적과 기준년효과 0.1%p씩 영향”“올 농축수산물 및 석유류 주도..내년 수요측 물가압력에 상방리스크 커져”
“내년 소비자물가는 당초 11월 전망치(2.0%) 보다 높아질 것이다.”
31일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투데이와의 전화통화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통계청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 식료품 및 에너지
경기회복+수요측 물가상승압력+원자재값 상승지속+글로벌 공급병목+소비회복+인플레기대
소비자물가가 상당기간 한국은행 물가목표치를 넘는 수준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아울러 하방리스크 보단 상방리스크가 더 우세하다고 봤다.
16일 한은은 ‘올 하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2019년부터 기존 물가목표 이탈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중반까지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할 전망이다. 특히,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7% 이상만 돼도 10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41로 전년 동월보다 3.7% 상승했다(2015년 100 기준). 이는 2011년 12월(4.2%) 이후 9년
“11월 물가 예상보다 상당폭 더 높아졌다”..“통계청 22일 기준년 개편은 변수”기술적으로 12월 물가 2.9~4.0%면 올 물가 2.4%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은 11월 전망수준 2.3%를 다소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2일 한국은행이 이같이 밝혔다.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지 꼭 일주일만에 사실상 추가로 상향조정한 셈이다. 앞서 한은은
한국은행은 잠재성장률 하락세가 빠르다며 구조개혁을 주문하고 나섰다. 아울러 실제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부진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봤다.
9일 한은이 발간한 ‘조사통계월보 8월호,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 추정’ 자료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 5%에 달하던 잠재성장률은 2010년대 후반 2%대 중반으로 떨어졌다. 특히 올해와 내년 잠재성장률은
지난해 정부 흑자규모는 5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도체 경기 호조 등에 힘입어 조세수입이 증가한데다,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기금 흑자도 꾸준했기 때문이다.
반면 공기업까지 포함한 공공부문 수지 증가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정부의 부동산대책에 따른 부동산경기 부진과 국제유가 상승 등 영향으로 비금융공기업을 중심으로 적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가 3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조짐이다. 실질 GDP는 속보치 보다 하락해 올해 2%대 성장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명목 GDP 또한 2분기째 저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국민 호주머니 사정을 엿볼 수 있는 국민총소득(GNI)은 한분기만에 플러스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GDP 성장세보다도 못한 부진이 이어졌다
3일 한국은행은 2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이 전기대비 1.0% 성장하는데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는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한은의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 2.2%를 달성키 위해서는 3~4분기 각각 전기대비 0.9%에서 1.0%를 성장해야 한다.
전반적인 물가수준을 의미하는 GDP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보다 0.7% 하락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2분기째 뒷걸음쳤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명목 GDP는 전분기대비 0.8% 감소했다. 직전분기에도 0.3% 하락한 바 있다.
한은이 이번에 기준년을 기존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하면서 과거 시계열과 단순비교키는 어렵지만 이는 1998년 1~2분기 연속 하락 이후
한국은행은 4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대비 0.4%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국내총생산(GNI)도 0.3% 감소해 3분기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명목 GDP는 0.8% 떨어져 2분기째 내렸다.
전반적인 물가상승률을 가늠할 수 있는 GDP디플레이터 역시 전년동기대비 0.5% 하락하면서 2분기째 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