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에 따른 첫 남북 교류 사업으로 산림 분야 협력이 추진되고 있지만 농업이 더 중요하다. 북한은 농경지 양분이 취약하지만, 남한은 남기 때문에 서로 윈윈할 수 있다.” 김창길(57)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은 나주 농촌경제연구원 원장실에서 이투데이와 인터뷰를 하고 “올해 4월 남북 정상회담 직후 ‘신한반도 농업협력 연구단’을 새로 설치하고 농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개원 40주년을 맞아 범농업계 인사들과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농업을 접목시킬 방안을 논의했다.
농경연은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농업·농촌의 새로운 가치를 말하다’라는 주제로 이슈토론·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농촌 유토피아의 구상’이라는 제목으로 특별 강연을 펼친 성경륭 경제
농업계에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블록체인(Block Chain)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관심을 끌고 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이자 ‘블록체인 혁명’의 저자인 돈 탭스콧은 블록체인에 대해 향후 30년 이상 우리의 삶을 지배할 미래 핵심기술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은 과연 무엇일까? 블록체인은 특정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 컴
농협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낡은 것을 바꿔 새 것으로 만든다’는 뜻의 환부작신(換腐作新)을 제시했다.
새해 농가소득 5000만 원 달성 목표에 속도를 내는 한편, 그 배경에는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헌법에 반영해 당위성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협은 지난해 말부터 농업의 공익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대대적인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11
농업은 기후변화의 피해자이자 가해자이며 해결자이기도 하다. 특히 타 산업에 비해 기후 의존적인 산업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 또 농업은 생산과정에서 아산화질소와 메탄,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배출하는데,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0~15%,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 정도를 차지한다.
주요 배출원은 벼 재배, 경작지 비료사용, 가축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이 14일 한국농업경제학회 36대 학회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201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이다.
농경연에 따르면 올해 60주년을 맞은 농업경제학회는 농업 및 식품경제 이론과 정책에 관한 연구발표와 정보교류, 농정 평가와 정책 제안 등을 하고 있다.
김 원장은 성균관대를 졸업하고 미국
세금을 내는 납세자가 세금의 납부 시기와 장소는 물론 세액과 용도를 스스로 결정해 농촌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매력적인 제도가 있다. 일본에서 2008년에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후루사토(ふるさと·故鄕·고향) 납세’ 제도다.
고향 납세(고향세 또는 고향사랑 기부제) 제도는 도시에 거주하는 납세자가 원하는 지자체를 지정해 기부하면 일정 금액(2000엔
철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철도망 확충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린다.
국회 정성호, 정병국, 조정식, 조경태, 윤영일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철도건설협회가 주관하는 2017 국회철도정책 세미나가 7일 오후 3시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이번 철도정책 세미나에서는 '철도 공공성 강화를 통한 철도망 확충 방안'이란 주제발표와 함께 토론회가
국민에게 전남 나주의 특산물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십중팔구는 ‘배’라고 답할 것이다. 나주는 배의 주산지로 전국 생산량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나주 배는 삼한시대부터 재배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배 재배 기록은 1454년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의 나주목 토공물(土貢物)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나주 배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929년 조선박람회에
우리 집에는 예쁘고 영리한 말티즈 강아지가 있다. 5년 전 외동아들이 군에 입대하자 허전한 빈자리를 채우려 데려온 말티즈다. 콩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함께 생활한 지 5년이 됐다. 반려견에 대한 좋지 않은 선입견으로 처음엔 키우는 것을 반대했지만 콩이가 주는 정에 푹 빠져 아들과는 또 다른 자식 같은 존재가 됐다.
요즘 고령화와 핵가족화, 나홀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일(현지시간) 미국 예일대에서 예일대 산림환경대학원과 연구협력 협정(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은 기후변화의 영향, 적응 및 완화와 산림 연구에 대해 실질적인 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공동연구와 관련 세미나 개최, 인적교류 등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창길 농경연 원장은 “예일대와의 MOU 체결을 계기로
이른 새벽부터 전북 완주군에 자리한 완주로컬푸드 모악산 직매장에 활기가 돈다. 완주군 농업인들이 이제 막 수확해온 싱싱한 농산물을 정성 들여 포장하고, 생산자·가격·출하일자 등이 인쇄된 라벨을 붙여 매대(賣臺)에 보기 좋게 진열한다. 매일 아침 완주로컬푸드매장에서 볼 수 있는 일상의 모습이다.
전주에서 완주로컬푸드 모악산 직매장을 찾아온 주부는 “싱싱하고
TV 속 도시 젊은이들은 높은 빌딩에서 멋진 양복을 입고 근무하며, 고급 승용차를 몰고 출퇴근하는 모습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농촌은 한여름에도 두꺼운 작업복을 입고 땀 흘리는 고령의 농부들이 많이 등장한다. 이런 모습을 보고 자란 세대는 자연스럽게 도시생활을 꿈꿀 것이다. 그리고 농사짓는 것은 연세 드신 분들의 일이라 여기고, 농촌을 은퇴 후 제2의 인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