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역발전 정책이 확 바뀐다. 기존 중앙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지역정책이 지역이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크게 개선된다. 기존 일방적 ‘지시’나 ‘명령’ 방식이 지역 체감도를 떨어뜨리고, 일자리 창출이나 기업투자 유인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2개 이상 시·군 전국 56개 ‘지역행복생활권’… 개발 주도권 지방 손으로 = 정
정부가 12일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는 지역제안 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역행복생활권 구성방안과 발전사업 밑그림이 소개돼 있다.
대책에 따르면 부산·울산·경남 지역에는 △중추도시생활권 4곳 △도농연계생활권 1곳 △농어촌생활권 2곳이 조성될 예정이며 총 457건의 특화산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가 12일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는 지역제안 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역행복생활권 구성방안과 발전사업 밑그림이 소개돼 있다.
대책에 따르면 서울·인천·경기·제주 지역에는 △중추도시생활권 2곳 △도농연계생활권 2곳이 조성될 예정이며 총 242건의 특화산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가 12일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는 지역제안 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역행복생활권 구성방안과 발전사업 밑그림이 소개돼 있다.
대책에 따르면 대구·경북지역에는 △중추도시생활권 4곳 △도농연계생활권 3곳 △농어촌생활권 3곳이 조성될 예정이며 총 422건의 특화산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가 12일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는 지역제안 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역행복생활권 구성방안과 발전사업 밑그림이 소개돼 있다.
대책에 따르면 전북지역에는 △중추도시생활권 1곳 △도농연계생활권 2곳 △농어촌생활권 1곳이 조성될 예정이며 총 143건의 특화산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가 12일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는 지역제안 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역행복생활권 구성방안과 발전사업 밑그림이 소개돼 있다.
대책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남지역에는 △중추도시생활권 4곳 △도농연계생활권 1곳 △농어촌생활권 3곳이 조성될 예정이며 총 189건의 특화산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가 12일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는 지역제안 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역행복생활권 구성방안과 발전사업 밑그림이 소개돼 있다.
대책에 따르면 충북지역에는 △중추도시생활권 2곳 △도농연계생활권 1곳 △농어촌생활권 2곳이 조성될 예정이며 총 171건의 특화산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가 12일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는 지역제안 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역행복생활권 구성방안과 발전사업 밑그림이 소개돼 있다.
대책에 따르면 강원지역에는 △중추도시생활권 2곳 △도농연계생활권 1곳 △농어촌생활권 3곳이 조성될 예정이며 총 197건의 특화산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의 핵심 지역발전정책인 ‘지역행복생활권’의 한 유형으로 50만명 이상의 지방 대도시권을 2개 이상 묶어 연계 개발하는 ‘중추도시생활권’ 육성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대상 지역으로는 ‘16+2’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대도시 또는 2개 이상의 인접도시 인구가 50만명 이상인 지역 16곳과 중추도시권으로 역할이 가능한 곳을 강원도와 전라도에서 각각 1곳씩
새 정부의 지역발전 모델로 제시된 농어촌생활권, 도농연계생활권, 충주도시생활권 등 3가지 지역행복생활권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됐다.
대통령 소속 지역발전위원회(지발위)는 3일 과거 지역발전 정책과 달리 지역자치단체와 주민이 주도해 권역설정하는 상향식으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발위는 지역행복생활권에 들어가는 기초 지자체 수를 2∼4개로
박근혜정부의 지역발전 정책 밑그림이 나왔다.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청와대에서 지역발전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하며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발전정책을 하향식에서 지자체와 지역민 중심의 상향식으로 바꿔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역발전위는 이와 관련, 지역발전 기본단위가 인위적으로 설정된 ‘행정구역’에서 실제 생활을 고려한 ‘생활권’으로 전환하는 개념의 ‘지역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