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22년 세계 최초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로 페링파마슈티컬스의 ‘리바이오타’ 승인 후, 2023년 세레스테라퓨틱스의 ‘보우스트’가 두 번째로 FDA 허가를 받았다.
국내에서도 쎌바이오텍과 CJ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등이 치료제 개발에 나서며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이 주목을 받고 있다.
2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마이크
쎌바이오텍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대장암 신약 ‘PP-P8’의 임상시험을 본격 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쎌바이오텍은 지난해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PP-P8’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 이후 서울대학교병원과 협력해 환자 선정기준을 구체화하고 병용금기약물을 조정하는 등 프로토콜을 변경했다. 변경된 임상시험계획은 서울대학교병원 의
CJ바이오사이언스가 이달 19~22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크론병및대장염학회(ECCO)2025’에서 ‘CJRB-201’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18일 밝혔다.
CJRB-201은 인공지능(AI) 기반 ‘이지엠(Ez-Mx®) 플랫폼’을 통해 발굴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로, 적응증은 염증성장질환(IBD)이다. 학회에서 면역분석과 동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는 이달 19일부터 22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sation, ECCO 2025)에서 마이크로바이옴 파이프라인 ‘CJRB-201’의 전임성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18일 밝혔다.
ECCO는 전세계 소화기내과 전문의와 연구
CJ바이오사이언스가 재무건전성을 끌어올리며 사업 확장을 위한 기지개를 켰다. 임상을 진행 중인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이 실탄 확보를 기회로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바이오사이언스는 모회사이자 최대주주인 CJ제일제당을 대상으로 전날 총 400억 원(395만2960주)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CJ제일제당
제3자 배정 방식으로 395만2960주 규모 유상증자“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AI 플랫폼 사업 가속화”
CJ바이오사이언스는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총 400억 원, 395만2960주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한다고 9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액은 주당 1만119원이며 모회사이자 대주주인 CJ제일제당이 모든 주식을 받게 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대주
셀트리온(Celltrion)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기업 바이오미(BioMe)와 신약 공동개발을 위한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지분투자 계약은 시리즈A 투자로 바이오미가 보유한 다제내성균 감염증 치료 신약후보 균주인 ‘BM111’의 개발에 속도를 내고, 향후 결과에 따라 신약에 대한 권리나 수익을 배분하는 것을 주
셀트리온은 미생물 생균 치료제 개발 기업 바이오미와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공동 개발을 위한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지분투자 계약은 시리즈 A 투자를 통해 바이오미가 보유한 다제내성균감염증 치료 신약 후보 균주 ‘BM111’의 개발에 속도를 내고 향후 결과에 따라 신약에 대한 권리나 수익을 배분하는 것이 골자다. BM111은 4종류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는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약물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개발 성과를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그룹 AI실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약물반응성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 AI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이 AI 예측모델은 암환자를 대상으로 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재선에 성공하면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및 건강기능식 전문기업 에이치이엠파마의 미국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에이치이엠파마의 글로벌 파트너인 암웨이의 상속자 딕 디보스의 부인이 트럼프 전 행정부의 교육부 장관을 지낸 벳시 디보스이기 때문이다. 디보스 일가는 트럼프의 당선을 위한 슈퍼팩(Super Pa
HLB그룹이 국내 최대 산업용 효소 및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전문 기업 제노포커스를 인수하면서 자금경색으로 어려움을 겪던 제노포커스가 사업 확장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노포커스는 28일 공시를 통해 HLB, HLB파나진 등 HLB그룹 7개사가 25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별도의 투자자 그룹이 5
HLB그룹이 제노포커스(Genofocus) 총 800억에 인수한다고 28일 밝혔다. 제노포커스는 맞춤형 산업용 특수 효소를 생산하는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전문기업이다.
이번 인수는 HLB를 중심으로 한 HLB계열사들이 인수와 증자로 250억원을 투자해 지분의 26.48%를 확보하고, 투자자 그룹이 55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
CJ바이오사이언스가 국제 학회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기술력을 알린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유럽소화기학회와 미국신경과학회에서 신약개발 플랫폼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와 신약 파이프라인 연구 성과를 각각 발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달 12일부터 15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유럽소화기학회에서 면역 매개 염증성 질환(Immune-Media
◇디앤디파마텍
펩타이드 개발에 필요한 것 디앤디에 다 있다
비만: 연내 환자 투약 시작 전망
MASH: 차별적인 역가로 우수한 임상 결과 기대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강원랜드
문체부 카지노업 변경 허가 등 4가지 규제 완화 발표
증설 효과 확인하기까지 4년 정도 소요
영업장 면적 3배 확장 등 2.5조 원의 중장기 투자 계획
이기훈
iM증권은 2일 종근당바이오에 대해 지난 3년간의 적자를 뒤로하고 올해부터 가동률 회복을 통한 원가율 개선으로 실적 턴어라운드의 지속이 가속화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종근당바이오는 2001년 종근당의 발효 및 정제 원료 사업부문을 분할해 설립됐다. 발효 기술을 바탕으로 항생제 및 면역억제제 등의 원료의약품을 생산할
에이치이엠파마는 5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돌입한다고 8일 밝혔다.
에이치이엠파마는 기술성 평가를 통해 기술특례상장 요건을 충족한 후 6월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총 공모예정 주식 수는 69만7000주로 희망 공모가 범위는 1만8000~2만1000원, 총 공모금액은 125~146억 원이다.
8월 2
◇대웅
콜린알포 unitl 2027
콜린알포 제제 급여 취소 소송 2심 앞두고 있으며, 임상재평가 2027년 종료 예상되기에 해당 기간까지 견조한 매출 전망되는 가운데, 뇌기능 건기식 사업 진출로 리스크 분산 중
적정주가 2만5000원, 투자의견 BUY 유지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
◇한중엔시에스
경북 영천의 자동차 부품사가 ESS 부품사로 변신
1
쎌바이오텍이 1분기 매출액 130억 원, 영업이익 11억 원의 잠정 실적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1.5%, 영업이익 3.4% 증가한 수치다.
회사 측은 고물가로 인한 내수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출 호조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듀오락(DUOLAC)’ 브랜드로 유명한 쎌바이오텍의 한국산 유산균은 전 세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개발에 대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암과 면역질환 등 미충족 수요가 큰 난치성 질환 분야에 해당 기술을 접목한 신약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27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망한 신약 후보 물질 가운데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을 접목한 사례가 적지 않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 공동체를 의미하는 용어다
쎌바이오텍이 대장암 신약 ‘PP-P8’ 임상 1상에 진입하며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주도권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쎌바이오텍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대장암 신약 ‘PP-P8’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1일 밝혔다.
PP-P8은 한국산 유산균을 활용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경구용 유전자 치료제로 기존에 나왔던 약물들과 전혀 다른 혁신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