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8094532_2137807_672_433.jpg)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는 이달 19일부터 22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sation, ECCO 2025)에서 마이크로바이옴 파이프라인 ‘CJRB-201’의 전임성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18일 밝혔다.
ECCO는 전세계 소화기내과 전문의와 연구자들을 비롯해 대형 제약사들이 참가하는 염증성 장질환 분야 국제 학술행사다.
CJRB-201은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인 이지엠(Ez-Mx®)을 통해 발굴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로, 염증성장질환(IBD)을 적응증으로 개발하고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RB-201을 주력 마이크로바이옴 에셋인 ‘CJRB-101’에 이은 후속개발 파이프라인으로 선정했다.
회사는 이번 학회에서 면역분석과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한 CJRB-201의 항염증효능 및 작용기전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AI 추천 뉴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염증성장질환 환자와 정상인의 500개 메타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장내에서 페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균주인 CJRB-201이 정상인과 대비해 현저히 감소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페칼리박테리움은 장내 주요 공생균 중 하나로, 이 균의 감소는 크론병 및 자가면역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잠재력이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연구진은 페칼리박테리움 계열 60개 균주 중 CJRB-201이 면역반응 억제기능을 가진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 Treg)를 가장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결과를 확인했다. 또한 마우스 실험 모델을 통해 체중감소 억제, 질병활성지수 개선, 조직병리 완화,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분비 억제, 대장길이 개선 등 주요 질환지표 개선도 확인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실험에서 일관되게 유효성을 확인했다. 또한 CJRB-201이 현재 염증성장질환 표준요법인 항체 기반 치료제와 동등한 수준의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확인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항체 기반 치료제는 투약편의성 및 안전성이 낮아 장기적 사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CJRB-201이 항체 치료제와 유사한 효과를 보이면서도 안전성은 뛰어난 새로운 치료요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임상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RB-201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식이섬유 및 작용기전도 연구중이다. CJRB-201의 장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식이섬유를 찾기 위해 인간 장내 미생물 생태계 시뮬레이터(SHIME 시스템)를 활용하고 있으며, 허준렬 하버드대 교수 연구팀과 CJRB-201의 작용기전 고도화를 위한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