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대형마트 업계가 일제히 초저가 할인 경쟁에 나서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분기별로 특가 상품을 선보이는 물가 안정 프로젝트 브랜드로 이마트는 3일부터 ‘The Limited’를 론칭한다.
이마트가 이번에 1차로 선보이는 상품은 총 48개로 신선식품 15개, 가공식품 27개, 일상용품 6개로 구성했다. 모든 상품은
홈플러스가 ‘물가안정 프로젝트’ 적용 품목을 50개에서 1000개로 대폭 확대한 ‘최저가 보상제’를 도입해, 대형마트 간 최저가 경쟁의 판을 더 키운다. 최근 고물가 추세의 지속으로 실속 저가 상품에 수요가 몰리자 내린 판단이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 간 반값 델리 경쟁을 비롯해 먹거리 기획전이 더 늘어나는 등 가격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홈플러스
올 들어 30대 대기업의 절반이 외형 성장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자, 자동차, 철강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출 주력 업종 기업들의 성장 부진이 두드러졌다.
30일 재벌닷컴이 지난 28일까지 올 1~3분기 실적을 발표한 매출 상위 30대 기업(금융회사 제외)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절반인 15곳의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지난해 참담한 경영 성적표를 받았다. 이는 국내 산업 전반에 걸친 경쟁력 약화 우려가 현실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투데이가 지난해 경영실적을 발표(7일 기준)한 60개 대기업을 분석한 결과 매출 상위 30개 기업의 67%가 전년보다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대기업 10곳 중 7곳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성장률 지표
지난 상반기 게임업계와 앱 시장에서는 황당한 사건들이 벌어졌다. 아이패드 앱스토어에서 상위권, 그것도 1위를 독차지해오던 게임이 밀려난 것이다.
1위 자리를 차지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고전문학 앱인 ‘세계문학’. 먼지 쌓인 고전이 게임을 밀어내는 사상 초유의 일이 일어난 것이다.
정부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0.8권
국내 대형 제조업체의 공장 가동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닷컴은 29일 매출 상위 30개 제조업체의 올해 상반기 국내 공장 가동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가동율은 91.29%로 작년 같은 기간 93.03%에 비해 1.74%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92.77%) 이후 최저 수준이다.
국내 최초로 직매입을 통해 가격 거품을 걷어낸 이랜드 NC백화점의 출발이 순조롭다.
5일 이랜드 관계자는 "오픈 첫 달 매출이 목표치 150억원을 넘어선 180억원을 기록해 연간 목표치 2500억원 달성에 대한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지난달 3일 오픈한 후 한 달 동안 NC백화점을 찾은 고객은 100만 여명으로 하루 평균 3만 명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