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이 바이오ㆍ메타버스 등 다양한 신사업을 앞세워 기업 포트폴리오 전환과 미래 먹거리 발굴에 힘을 쏟고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2030년 완공을 목표로 바이오 캠퍼스 1공장을 건립 중이다. 이를 통해 3개의 메가 플랜트를 조성하고 총 36만 리터 항체 의약품 생산 규모를 국내에 갖춘다는 청사진이다. 1개 플랜트 당 12만 리
전 세계 최대 바이오산업 분야 행사 중 하나로 꼽히는 ‘2024 세계 제약·바이오전시회(2024 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 Worldwide·CPHI)’에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이 대거 참가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올해 35주년을 맞이한 CPHI 2024는 8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이탈리아
롯데그룹이 AI(인공지능)를 그룹 비즈니스에 적극적으로 도입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ㆍ메타버스 등 신사업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간다는 청사진이다.
롯데그룹에 따르면 롯데이노베이트는 최근 자체 AI 플랫폼 ‘아이멤버(Aimember)’의 성능과 기능을 향상한 ‘아이멤버 2.0’을 새롭게 선보였다.
롯데그룹은 불확실성의 시대를 돌파하기 위해 혁신 경영 일환으로 인공지능(AI)을 그룹사 비즈니스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또 롯데그룹은 △바이오앤웰니스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뉴라이프 플랫폼 테마를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전환에 속도를 낸다.
25일 롯데지주에 따르면 롯데이노베이트는 이달 롯데그룹 자체 AI 플랫폼 ‘아이멤버(Aimember)2.0’
인천 송도 바이오캠퍼스 첫 삽…1공장 건립 박차이원직 대표 “글로벌 CDMO기업 입지 다질 것”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인천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건립을 본격화한다.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올해 3월 착공했으며, 2027년 가동 예정이다. 1공장이 완공되면 미국 시러큐스공장과 시너지를 통해 2030년까지 ‘글로벌 톱(TOP) 10’ 위탁개발생산(CDMO
롯데그룹이 미래 먹거리 확대와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인공지능) 도입에 앞장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앤웰니스,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뉴라이프 플랫폼 등 4대 신성장 테마를 중심으로 신사업 확장에 골몰하고 있다.
롯데그룹 계열사인 ‘롯데이노베이트(옛 롯데정보통신)’는 올해 초 자체 개발한 비즈니스 생성형 AI 플랫폼 ‘아이멤버(Aim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30·40세대의 매매 비중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바이오 클러스터 등 신규 일자리 조성이 예고된 인천 연수구, 용인 수지구 주변 단지에 매수세가 집중됐다.
6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총 14만5780건의 매매가 발생한 가운데 30·40의 거래 건수는 절반이 넘는 8만2894건(5
롯데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헬스케어 리딩 기업 로슈그룹의 진단사업부인 로슈진단(Roche Diagnostics)과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로슈진단 커스텀바이오텍 센터가 위치한 독일 펜츠베르크에서 진행된 이번 업무협약은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의약품 생산성 제고 및 품질 강화를 위한 협력 관계 구
롯데그룹이 18일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2023 하반기 VCM(Value Creation Meeting)’을 열고 그룹 경영 및 중장기 전략을 논의한다.
18일 롯데지주에 따르면 VCM은 이날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진행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비롯해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 각 사업군 총괄대표와 계열사 대표, 롯데지주 실장 등 80여
롯데바이오로직스가 국내·외 생산거점을 확정하면서 본격적인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펼친다. 롯데그룹의 미래 성장을 위한 중심축으로 떠오른 롯데바이오로직스에서 이원직 대표의 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될지 관심이 쏠린다.
21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부터 실적 확대 구간에 접어든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과 체결한 수주 계약이 반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인천 송도에 36만 리터 규모의 생산설비를 짓는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롯데지주,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함께 국내 바이오 의약품 생산 시설의 빠른 건립을 위한 4자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인천경제자유구역청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이훈기 롯데지주 사장, 유정복 인
롯데그룹이 2030년까지 바이오, 화학, 식품 분야의 신사업에 최소 18조 원을 투자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올해 상반기 VCM(사장단 회의)에서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해 건강한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해야 한다. 올해는 재도약을 위해 지난 몇 년간 준비했던 노력을 증명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한 바 있다.
롯데그룹은 신 회장이 인재, 연구개
롯데바이오로직스가 17일(현지 시간) 미국 시러큐스 공장의 성공적인 인수를 기념하는 현판식을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현판식이 미국 생산기지의 새 출발을 본격적으로 알림과 동시에, 현지 임직원들의 소속감 및 사기를 증진하고 시러큐스 지역 내 브랜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미국 뉴욕주 시러
롯데지주는 31일 롯데월드타워 31층 오디토리움에서 제56기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이동우 대표이사를 사내이사로 재선임했다. 또 아날 주총에서는 이훈기 ESG경영혁신실장이 신규 사내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롯데지주는 이날 주총에서 △재무제표 승인 △이사 선임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 4개 안건이 상정돼 모두 원안대로 가결됐다
본지는 국내 대표 바이오클러스터를 직접 찾아 특장점과 경쟁력을 살피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 ‘K바이오 심장을 가다’ 기획을 통해 K바이오클러스터 글로벌 영향력 확대 방향과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K바이오 심장을 가다] 글싣는 순서①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② 오송바이오클러스터③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④ 송도바이오클러스터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자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는 10일(현지시간)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아시아·태평양 트랙에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서의 본격적인 진출을 알리고 향후 10년의 중장기 비전을 발표했다.
9일부터 나흘간 진행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올해로 41회째를 맞는 바이오 업계 최대 행사다. 전 세계 50여 개국 1500여 개 기업과 투자자들이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 "그룹이 전폭적 지지"BMS서 인수한 미국 시러큐스 공장, 잠재가치 10분의 1에 사들여미국법인 자회사 설립 예정..국내 메가플랜트로는 송도가 유력
롯데바이오로직스가 롯데그룹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전개에 속도를 낸다. 미국 시러큐스 공장에 이어 국내에 대규모 생산설비를 짓고, 적극적인 수주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