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TV토론을 통해 증세 없는 ‘선심성 공약’ 이슈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자신의 국정공약 이행에 다른 대선후보들이 제시한 재원 규모 중 가장 적은 90조2000억 원(매년 약 18조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본원칙은 ‘무증세’와 ‘알뜰한 국가재정 활용’이다.
홍준표 대선후보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정책공약위원
“예산실은 예산을 배분하면 관리책임이 끝나지만 세제실은 세금을 걷고 결산하는 순간까지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세제실의 한 고위관계자가 언급한 이같은 발언은 현재 세제실의 막중한 책임과 그에 따른 고뇌를 함축한 말이다.
실제로 1분기를 간신히 넘어선 현 시점에서 세제실의 고뇌는 끝이 없다. 담뱃값 인상에서부터 해프닝으로 끝난 연말정산 ‘후폭풍’에
저물가와 저성장이 정부의 세입 전망을 흔들면서 무증세 정책을 위협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일 중복 복지 사업을 줄여 3조원의 예산을 절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정부의 ‘깜짝’ 발표는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막겠다는 의지다. 하지만 사실상 물가 하락에 따른 세수 부족의 우려가 커지면서 예산 절감을 꾀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같은 날 발
강한 추진력으로 지난 7개월 동안 경제집권을 해온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아성이 무너지고 있다.
각종 경제지표가 바닥을 치고 있는데다 재정수지조차 적자 폭이 커지면서 사실상 ‘증세 없는 복지’를 주장해온 최 부총리에게 여당조차 등을 돌린 양상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취임 이후 최 부총리가 추진해온 강한 부양책에도 경기불황의 3저현상(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