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사, 웹3 대중화 위한 글로벌 마케팅 협력 체계 구축파트너사ㆍ고객 모두 만족하는 성공 사례 발굴 목표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가 ‘에어아시아 리워드(AirAsia Rewards)’, ‘더 샌드박스(The Sandbox)’와 글로벌 마케팅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고 11일 밝혔다.
3사는 이번 협력을 통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가 씨유(CU)와 함께 ‘라라스윗 밀크 룰렛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이용자들은 밀크 앱과 ‘포켓CU’ 앱을 연동한 후, CU편의점에서 라라스윗 상품을 구매해 CU 멤버십 포인트를 적립하면 룰렛에 응모할 수 있다. 선착순 3만 명을 대상으로 100% 당첨 기회를 제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를 운영 중인 밀크파트너스가 글로벌 메타버스 UGC 플랫폼 ‘더 샌드박스’와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5일 서울 서초구 밀크파트너스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조정민 밀크파트너스 대표이사, 세바스티앙 보르제 더 샌드박스 공동창립자 겸 최고운영책임자를 비롯한 주요 관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가 밀크 앱 내에 OK캐쉬백 계정 연동과 포인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5일 밝혔다.
OK캐쉬백은 2000만 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한 멤버십 서비스로 밀크 앱에서 포인트 교환이 가능해짐에 따라 양사 고객들의 포인트 활용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교환 대상은 적립된 포인트에 한해서 가능하다.
밀크는 여행,
밀크파트너스, KISA의 ‘온라인 서비스’ ISMS 인증 획득이용자 개인정보 보호 및 서비스 보안 강화 위해 취득롯데 엘포인트 등 포인트 연결…이달 OK캐쉬백 연동 예정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온라인 서비스 대상’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밀크
밀크, 인니 정식 출시…겟플러스ㆍ에어아시아 제휴현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 ESO 등록 및 KYC 도입현지 파트너사와 협업, “고객 접점 확대할 예정”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가 인도네시아 현지 서비스를 공식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밀크는 다양한 기업들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한 번에 관리하고 교환할 수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 중인 밀크파트너스가 SK플래닛과 웹 3.0 생태계 및 블록체인 분야 전방위적 협력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밀크파트너스의 모회사인 ‘키인사이드’는 SK플래닛의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업튼(UPTN)’의 공동 개발사로서 사업 컨설팅과 기술 개발 등 프로젝트 전반에 참여했다. 업튼은 아발란체 서브
겟플러스, 은행ㆍ이커머스 등 포인트 통합과 교환 서비스 제공밀크와 겟플러스 포인트 연동…2분기 내 서비스 오픈 계획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하는 밀크파트너스가 인도네시아 로열티 포인트 통합 플랫폼 ‘겟플러스’와 포인트 전환 서비스 오픈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겟플러스는 △DANA(인도네시아 전자
CU는 CU 멤버십 포인트를 밀크코인과 교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올해 9월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하는 밀크파트너스와 멤버십 포인트 연동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 서비스 오픈으로 지금까지 CU 점포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CU 포인트 사용처가 밀크 앱
#코로나19로 영화관에 가는 일이 줄었다. 영화 한 편 한 편을 보며 모았던 포인트가 증발될 위기다. 포인트를 심폐소생할 방법이 있다.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 중인 밀크파트너스의 이야기다. 밀크 애플리케이션을 켜 메가박스 포인트를 연동하면 밀크 코인(MLK)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해당 액수만큼의 밀크는 다시 다른 제휴사 포인트로
“단절 없이 다른 서비스들과 계속해서 연결되는 범용성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 신규 파트너십을 계속 맺으며 서비스를 벌크업해 나갈 계획이다. 사용자 관점에서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해보려는 욕심이 있다.”
조용현 밀크파트너스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최근 이투데이와 만나 밀크파트너스와 키인사이드가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와 같이 밝혔다. 조 CMO는 작년
진에어는 1일부터 밀크파트너스와 제휴를 맺고 계정 연동 및 지니쿠폰 판매 서비스를 시작한다.
밀크파트너스는 블록체인 기반 여행ㆍ여가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 운영사이다.
이번 서비스 제휴에 따라 밀크 앱 이용 고객은 진에어의 국내선, 국제선 항공권 전용 운임 할인 쿠폰인 지니쿠폰을 밀크 코인을 통해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밀크 회원 전용 지니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가 밀크 앱 정식 출시 1주년을 맞이해 그 간의 행보와 성과를 28일 공개했다.
밀크는 지난해 4월 글로벌 여행ㆍ여가 플랫폼 야놀자에 이어 신세계인터넷면세점과의 계정 연동을 시작으로 본격 서비스에 나섰다.
밀크는 국내외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쓸 수
밀크파트너스의 모회사인 키인사이드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인 그라운드X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라운드X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다. 자체 개발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과 카카오톡으로 접근할 수 있는 클레이튼 기반의 디지털 자산 지갑 서비스인 ‘클립(Klip)’을 운영하고 있다.
클레이튼을
밀크파트너스의 모회사인 키인사이드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인 그라운드X와 전략적 사업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키인사이드는 지난 2018년 설립된 블록체인 전문 개발사로,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하여 다양한 기업의 포인트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밀크’와 카카오톡
별도 앱 다운로드 없이 PC 또는 모바일 제휴사 웹페이지에서 밀크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게 됐다.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 중인 밀크파트너스는 ‘간편 연동 2.0’ 기능을 업데이트했다고 24일 밝혔다. 제휴사 채널에서 밀크 회원 가입은 물론 양사 계정 연동까지 가능한 서비스다.
기존 간편 연동 1.0에서는 밀크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 중인 밀크파트너스는 ‘2020 대한민국 혁신기업 대상’ 선정을 기념해 금수저 증정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밀크파트너스는 혁신기술을 통한 고객 감동과 국내 블록체인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블록체인 업계 중 유일하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밀크파트너스는 오는 13일까지 3
코로나19로 IT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에 관심이 높아지며,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서비스들도 본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들었다. 여행, 모바일 지갑, 게임, 간편결제 등 다양한 분야에 코인이 활용되고 있다.
밀크는 지난 4월 글로벌 여행·여가 플랫폼 야놀자와 연동을 시작으로 본격 서비스에 나섰다. 야놀자를 비롯해 신세계인터넷면세점, 람다256,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 중인 밀크파트너스가 한국페이즈서비스와 서비스 이용처 다각화를 위한 사업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페이즈서비스는 도서문화상품권 ‘북앤라이프’를 발행하는 기업이다. 2만여 개가 넘는 대규모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처를 확보하고 있다. 북앤라이프 도서문화상품권은 페이코, SSG
블록체인 기업들이 서비스 확장과 성장에 기여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보상을 제공하거나 혜택을 강화하는 등 생태계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고 6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 중인 밀크파트너스는 최근 프리미엄 멤버십 토큰 ‘맵(MAP)’을 출시했다. 밀크 코인(MLK) 소각 이벤트 참여, 포인트 교환, 밀크팩 참여